-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Reducing Fire Non-Suppression Prob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ir Sampling Detectors in Nuclear Power Plants
공기흡입형 감지기 적용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화재진압실패확률 저감에 관한 연구
-
Min-Hyeok Ko, Young-Man Lee, Dong-Woo Kim, Yu-Gean Yang, Doo-Chan Choi
고민혁ㆍ이영만ㆍ김동우ㆍ양유근ㆍ최두찬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fire detection failure probability using a developed air sampling detector as a method to reduc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 CDF 저감을 위해 NSP(화재진압실패확률)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통해 화재 감지 실패 확률을 계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fire detection failure probability using a developed air sampling detector as a method to reduce the NSP (Non-Suppression Probability) for fire CDF(Core Damage Frequency) reduction. Method: As suggested in NUREG-2180, the application methodology for air sampling detectors is presented. The calculation process of Unreliability and Unavailability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400 field installations. Result: The fire detection failure probability of the developed air sampling detector was calculated as 0.0028, confirming a 46% redu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moke detector failure probability of 0.05.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is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CDF reduction. It is expected that new methods will be proposed through future comprehensive studies considering the severity factor influenced by cabinet fires and cable fire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 CDF 저감을 위해 NSP(화재진압실패확률)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통해 화재 감지 실패 확률을 계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NUREG-2180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대해 적용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Unreliability, Unavailability의 계산과정을 통해 400대의 현장 설치 결과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화재 감지 실패확률은 0.0028로 기존 연기감지기 감지 실패확률 0.05의 46% 저감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최종적으로 CDF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케비닛 화재, 케이블 화재에 영향을 고려하는 심각도와 복합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방법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Reducing Fire Non-Suppression Prob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ir Sampling Detectors in Nuclear Power Plants
-
Original Article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Enhancing Smoke Control Systems for Petrochemical Plants
석유화학플랜트 연기제어설비 고도화를 위한 국내·외 문헌 분석
-
Doo Chan Choi, Yu Gean Yang, Su Min Oh
최두찬ㆍ양유근ㆍ오수민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standards to identify limitation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smok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과 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연기 제어 댐퍼 성능 평가 체계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실험 방법과 Mock-up …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standards to identify limitation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smoke control dampers. Method: Based on this analysis, a new experimental methodology and Mock-up structure are proposed. Existing domestic testing frameworks are predominantly focused on static conditions, lacking sufficient consideration of dynamic environments, high-temperature cyclic operation, and leakage classification (Class standards), which are critical for simulating real fire scenarios.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EN 1366-10, UL 555, and ISO 10294 were reviewed, and a Hot-Smoke Test-based experimental method incorporating fire scenarios was designed. The experimental design ensures safety and cost efficiency by enabling smoke generation without flame production, and the Mock-up structure allows for the simulation of various fire scenarios. Result: The proposed experimental method provides a robust basis for validating the performance of smoke control dampers in complex environments, such as industrial plants.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domestic evaluation framework for smoke control dampers to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fire safety in high-risk industrial facilitie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과 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연기 제어 댐퍼 성능 평가 체계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실험 방법과 Mock-up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국내 실험 체계는 정적 조건에 집중되어 있어 동적 환경, 고온 반복 작동, 누설량 등급화(Class 기준)와 같은 실제 화재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EN 1366-10, UL 555, ISO 10294 등 국제 표준과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화재 시나리오를 반영한 Hot-Smoke Test 기반 실험 방법을 설계하였다. 연구방법: 실험 설계에서는 연기 발생은 가능하나 화염은 생성되지 않는 조건을 통해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였으며, Mock-up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화재 시나리오를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실험 방법은 플랜트와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연기 제어 댐퍼의 성능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결론: 국내 연기 제어 댐퍼 평가 체계를 국제적 수준으로 고도화하고, 고위험 산업시설의 화재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Enhancing Smoke Control Systems for Petrochemical Plants
-
Original Article

-
Strategic Military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Systems in Modern Warfare: A Case-Based Analysis
현대 분쟁에서 무인항공기의 군사적 활용 전략: 사례 기반 분석
-
Soonhyeong Cha, Kyeongtae Kim, Juhui Seo
차순형ㆍ김경태ㆍ서주희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ilitary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Systems (UAS) in recent armed conflicts. It seeks to demonstrat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분쟁에서 무인항공기(UAS)의 군사적 활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UAS가 현대전에서 전략적 핵심 전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ilitary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Systems (UAS) in recent armed conflicts. It seeks to demonstrate how UAS have evolved into a strategic core asset in modern warfare. Method: A literature-based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wars in Ukraine–Russia, Armenia–Azerbaijan, and Israel–Hamas. The study compared and examined drone deployment method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phases of military operations. Result: UAS were found to perform diverse tasks reconnaissance, strike, resupply, and electronic warfare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by enhancing combat effectiveness. Notably, autonomous flight capabilities and low-cost platforms contributed to operational agility and sustainability. Conclusion: Unmanned aerial systems are no longer auxiliary tools, but strategic assets reshaping the very concept of military operations. Future military strategies must be redesigned with UAS as central elements of force structure.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분쟁에서 무인항공기(UAS)의 군사적 활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UAS가 현대전에서 전략적 핵심 전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크라이나‑러시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전 단계별 드론 활용 방식과 기술적 특징을 비교·검토하였다. 연구결과: UAS는 정찰, 타격, 보급,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를 유기적으로 수행하며 전투 효율을 높이고 있었다. 특히 자율비행과 저비용 플랫폼은 작전의 기민성과 지속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결론: 무인항공기는 더 이상 보조적 장비가 아니라, 작전 개념 전반을 바꾸는 전략적 자산이다. 향후 군사 전략 수립 시 중심 전력으로서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
Strategic Military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Systems in Modern Warfare: A Case-Based Analysi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oT Fire Safety Module for Construction Sites and Infrastructure-less Spaces
공사현장 화재감지 인프라리스 공간의 IoT 화재안전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
Suhaeng Lee, KwangKook Kim, SeHong Min
이수행ㆍ김광국ㆍ민세홍
- Purpose: Fires continue to occur in spaces where fire safety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such as construction site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
연구목적: 건설공사현장 등 화재안전 인프라가 미흡한 공간에서의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응하여 IoT 화재안전모듈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임시소방시설·화재감시자 등 관련 …
- Purpose: Fires continue to occur in spaces where fire safety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such as construction site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n IoT-based fire safety module. Method: After examin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n temporary fire facilities and fire watchers, we designed and developed a module integrating flame, thermal imaging, and gas sensors, applying a mesh network and edge computing framework. Result: Even under the highly variabl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s, the module effectively identifies fire location and risk level at an early stage,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fixed systems through LED and voice alerts. Conclusion: The proposed mobile fire safety module demonstrates the potential to reduce fire-related damage through early warning and evacuation guidance in areas lacking sufficient fire safety infrastructu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practical improvement of fire detection blind spots, including those at construction sites.
- COLLAPSE
연구목적: 건설공사현장 등 화재안전 인프라가 미흡한 공간에서의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응하여 IoT 화재안전모듈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임시소방시설·화재감시자 등 관련 법령을 검토하고, 불꽃·열화상·가스 센서를 통합한 모듈을 설계한 뒤, 메시(Mesh) 네트워크와 엣지(Edge) 컴퓨팅 기반으로 모듈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본 모듈은 유동적인 공사현장 구조에서도 화재 위치와 위험도를 조기에 파악하고, LED·음성 안내를 통해 고정식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했다. 결론: IoT 화재안전모듈은 소방인프라가 미흡한 공간에서 조기경보와 대피안내로 화재사고 피해 경감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건설공사현장을 포함하여 화재감지 사각지대 문제의 실질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oT Fire Safety Module for Construction Sites and Infrastructure-less Spaces
-
Original Article

-
Fire Safety Assessment of Accelerated-Aged Nuclear Power Plant Cables: Application of Heat Growth Index and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가속 열화된 원전 케이블의 화재 안전성 평가: 열성장지수와 회귀분석 기법의 적용
-
Kye-Won Park, Jihyun Kwark, Doo-Chan Choi, Hyeon-Hyeok Yang
박계원ㆍ곽지현ㆍ최두찬ㆍ양현혁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atabase of heat release rates of electrical cabinets that can be utilized for severity estimation …
연구목적: IEEE 383과 같은 원자력발전소(원전) 케이블의 표준 화재 안전성 시험은 신품을 대상으로 하므로, 장기 운영에 따른 열화가 난연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atabase of heat release rates of electrical cabinets that can be utilized for severity estimation for NPP fire risk assess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fire scenarios were derived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cabinet shape (volume, opening, combustibles, etc.), and for the design of the electrical cabinet fire test, a cone calorimeter test for combustibles selection and a cable vertical fire spread test for fire source calorific value selection were performed. Results: Based on the developed test method and selected fire scenarios, a Heat Release Rate (HRR) database for domestic nuclear power plant electrical cabinets was established, and its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FDS. Conclusion: The established electrical cabinet heat release rate DBs are applied as severity estimation factors for NPP fire risk assessment. In the future, a database covering all electrical cabinet fire scenarios is planned, and a follow-up study will be conducted to develop a technique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fire severity of domestic electrical cabinets.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safety assessments for nuclear power plants.
- COLLAPSE
연구목적: IEEE 383과 같은 원자력발전소(원전) 케이블의 표준 화재 안전성 시험은 신품을 대상으로 하므로, 장기 운영에 따른 열화가 난연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 공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가속 열화를 통해 장기 사용된 원전 케이블의 화재 안전성능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평가할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안전등급 케이블 2종(A: XLPE, B: EPR/CSPE)에 대해 아레니우스 모델을 적용하여 최대 40년 등가 수명에 해당하는 가속 열화를 수행하였다. 이후 IEEE 383 수직 화염 시험으로 난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화재 거동을 정량화하기 위해 화원으로부터 특정 거리에서의 최대 온도상승률(°C/s)로 정의되는 새로운 열성장지수(TEGRA)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가속 열화는 케이블의 난연성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은 케이블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제안된 열성장지수는 평균 탄화 길이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A 케이블의 회귀 모델은 가속열화온도에 의해 높은 설명력(R2>0.6)을 보인 반면, B 케이블 모델의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낮아(R2=0.313) 후자의 열화 거동이 더 복잡함을 시사했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화재 안전성 표준이 경년 열화된 원전 케이블의 위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제안된 열성장지수는 성능 기반의 화재 안전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정량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원전의 경년 열화 케이블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화재 안전성 평가 기준 수립과 상태 기반 유지보수(CBM)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ire Safety Assessment of Accelerated-Aged Nuclear Power Plant Cables: Application of Heat Growth Index and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
Original Article

-
Guideline Study for the Supply of Modular Screening Centers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Stages of Occurrence
감염병 대응 모듈형 긴급시설 공급을 위한 발생시기별 매뉴얼 연구
-
Tae Jun Yeom, Bong Chan Kim, Dong Goo Seo, Eun Kyoung Hwang
염태준ㆍ김봉찬ㆍ서동구ㆍ황은경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anual for rapidly supplying emergency facilities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specifically tailored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긴급시설 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리자의 입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재난 발생 단계별 긴급시설 공급 매뉴얼을 …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anual for rapidly supplying emergency facilities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specifically tailored to administrative use according to each distinct stage of the outbreak. Method: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COVID-19 screening center personnel were conducted to identify essential components for developing a Screening Center provision manual. Result: Before an infectious disease outbreak, it is essential to plan stockpiles, select suitable locations, and consult with suppliers.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determining the required number of Screening Centers, procurement, and installation plans are necessary. During stabilization, ongoing maintenance and additional supply strategies are needed. After the outbreak ends, inspections, repairs, restocking, reuse/recycling, and site reorganization for Screening Centers are recommended. Conclusion: From an administrative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approach for rapidly supplying Screening Centers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emphasizing sustainability through reuse and recycling strategie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긴급시설 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리자의 입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재난 발생 단계별 긴급시설 공급 매뉴얼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감염병 발생 시기를 ‘발생 전’, ‘발생 직후’, ‘종식 이후’의 총 3단계로 구분하였고 감염병 대응과 관련된 기존 매뉴얼 문헌을 조사하고, COVID-19 기간 동안 선별진료소 관계자 대상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긴급시설 공급 매뉴얼 작성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감염병 발생 전에는 비축량 산정, 입지 선정, 업체와의 사전 협의가 필수적이다. 발생 직후에는 긴급시설의 공급량 산정, 사용 신청 절차, 발주 방식 및 설치 계획 마련이 필요하며 안정기에는 시설의 지속적인 유지관리 방안과 추가 시설 공급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종식 이후에는 시설 점검과 보수·보강, 재비축 방안, 시설의 재사용 및 재활용 방안, 설치구역의 재정비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관리자의 관점에서 감염병 대응 긴급시설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재사용 및 재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긴급시설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Guideline Study for the Supply of Modular Screening Centers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Stages of Occurrence
-
Original Article

-
Investigation on Coupled Flutter Mechanism of Rectangular Sections based on Aeroelastic Energy Concept
구형단면의 플러터 발현 메커니즘 검토
-
Byung-Young Song, Gi-Nam Kim
송병영ㆍ김기남
- Purpose: Since the coupled flutter instability may lead to the collapse of stiffened girder, its stabi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
연구목적: 연성 플러터는 고풍속대에서 발생되는 공력 불안정 현상으로서, 플러터 발현을 한계풍속 이하에서 억제하는 것이 장대교량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가장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
- Purpose: Since the coupled flutter instability may lead to the collapse of stiffened girder, its stabi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 feasibility of long-span bridges. The clarification of coupled flutter mechanism is indispensible for the effective stabilization of the catastrophic oscill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mechanism of coupled flutter instability for rectangular sections is examined based on the complex eigenvalue analysis and aeroelastic energy method.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bluff rectangular section with the aspect ratio of 5 (B/D=5) is classified into damping-driven flutter type, and that relatively slender rectangular sections (B/D=8~20) is stiffness-driven flutter typ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mechanism of coupled flutter instability for rectangular sections are investigated based on complex eigenvalue analysis and aeroelastic energy,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upled flutter stabilizaton of various girder section shapes in long-span bridges.
- COLLAPSE
연구목적: 연성 플러터는 고풍속대에서 발생되는 공력 불안정 현상으로서, 플러터 발현을 한계풍속 이하에서 억제하는 것이 장대교량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가장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장대교량의 플러터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보강거더 단면의 플러터 메커니즘을 분석하여야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장비를 갖는 구형 단면(Rectangular Sections)을 대상으로 복소고유치 해석(Complex Eigenvalue Analysis) 및 공탄성 에너지 방법(Aeroelastic Engergy Method)을 적용하여 연성플러터 발현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변장비 5인 구형단면은 감쇠비례항에 의한 에너지 성분(Damping-Driven Energy)이 플러터 발현을 유발하였고, 변장비 8~20의 구형단면은 강성비례항에 의한 에너지 성분(Stiffness-Driven Energy)이 플러터 발현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공탄성 에너지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변장비를 갖는 구형단면의 플러터 발현 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기법을 다양한 단면형상에 적용하여 플러터 발현유형 분석 및 플러터 안정화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Investigation on Coupled Flutter Mechanism of Rectangular Sections based on Aeroelastic Energy Concept
-
Original Article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silience Index for Evaluating Functional Disruptions in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국가핵심기반 기능 중단 시 회복력 평가를 위한 지수 개발 및 활용
-
Ho Jun Lee, Jae Chun Choi
이호준ㆍ최재춘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quantitative method to evaluate the resilience of critical infrastructure,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societal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국가핵심기반의 회복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quantitative method to evaluate the resilience of critical infrastructure,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societal functions. Method: The study applies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BIA) framework defined in the ISO 22301 standard to assess infrastructure resilience. The key indicators used in the analysis include the Maximum Tolerable Period of Disruption (MTPD), Recovery Time Objective (RTO), and Minimum Business Continuity Objective (MBCO), which serve as quantitative metrics for the duration of disruption and the level of functional degradation. Additionally, the resilience index was quantified as the ratio of potential loss to actual loss under various recovery strategies. Result: This quantitative approach allows for relative comparison of infrastructure resilience and helps identify priority recovery targets. Strategic control parameters further support optimizing recovery by limiting service disruption and functionality los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SO 22301-based BIA indicators offer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frastructure resilience, supporting better recovery decisions and impact reduction.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국가핵심기반의 회복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ISO 22301 표준에 정의된 업무영향분석(BIA)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기반시설 회복력을 평가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주요 지표로는 최대 허용 중단 기간(MTPD), 복구 목표 시간(RTO), 최소 업무 지속 목표(MBCO)가 있으며, 이들은 중단 시간과 기능 저하 수준을 수치화한 지표를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복구 전략에 따라 발생 가능한 손실과 실제 손실의 비율로 정량화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에서 도출된 접근법은 다양한 기반 시설의 회복력 수준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재해 발생 시 우선 복구 대상을 식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지수의 도입을 통해 서비스 중단 시간과 기능 저하 수준을 제한함으로써 복구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BIA 지표가 기반시설 회복력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확장 가능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평가 체계는 복구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사회적 영향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silience Index for Evaluating Functional Disruptions in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Vibration Velocity During Rock Blasting Work
암발파 시 진동속도 관련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Gyeong-Han Kim, Ok-Nam Park
김경한ㆍ박옥남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structural damage and collapse caused by blasting and impact noise by addressing overall …
연구목적: 발파 시 측정하는 진동속도의 측정기기, 측정기준(측정방법), 진동레벨-진동속도 환산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 를 해결하여 발파 및 충격음에 의한 건축물 피해 및 구조물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structural damage and collapse caused by blasting and impact noise by addressing overall problems related to vibration velocity measuring devices, measurement standards (measurement methods), and the conversion formula between vibration level and vibration velocity during blasting operations. Method: The study involved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ements taken at construction sites, examination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al systems, and verification of conversion formulas between vibration level and vibration velocity. Based on this,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corresponding improvements were proposed. Result: There are currently no statutory regulatory standards for vibration velocity, nor formal approval (type approval) for manufacturing or importing vibration measuring devices, or established measurement standards. Significant discrepancies were observed in the measurement results obtained from five diffe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asuring devices. Furthermore, substantia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various conversion formulas, which leads to major problems when these measurements are used for blasting design or dispute resolution. Accordingly,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establishing government-level regulatory standards for vibration velocity, implementing type approval and accuracy tests f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enacting legal measurement standards for vibration velocity, and standardizing the conversion formula between vibration level and vibration velocity will help resolve disputes and prevent disasters such as damage to buildings or structural collapse.
- COLLAPSE
연구목적: 발파 시 측정하는 진동속도의 측정기기, 측정기준(측정방법), 진동레벨-진동속도 환산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 를 해결하여 발파 및 충격음에 의한 건축물 피해 및 구조물 붕괴 등의 재난을 예방한다. 연구방법: 현행 법규 및 제도의 조사, 공사장별 측정 및 결과 비교, 진동레벨-진동속도 환산식 검증 등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연구결과: 진동속도는 법적 규제기준과 제작· 수입시 성능 등의 형식승인 및 측정기준 등이 없고, 국내외 5종의 측정기로 측정 결과는 큰 편차가 있었고, 환산식별로 차이가 심해 발파설계 및 분쟁 활용 시 문제가 커서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결론: 정부차원의 진동속도 규제기준 마련, 진동속도 측정기의 형식승인 및 정도검사 실시, 진동속도 측정기준 법제화, 진동레벨-진동속도 환산식 표준화 등이 마련되면 분쟁 해소와 건축물 피해나 구조물 붕괴 등의 재난 발생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Vibration Velocity During Rock Blasting Work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in Korean Workplaces Based on Causes and Incident Characteristics
화학사고 원인 및 발생 특성에 기반한 국내 사업장 사고 저감 방안 연구
-
Ji Yoon Kim, Jae Hoon Kim, Sung Bum Kim, Choon Hwa Park, Seong Kyeong Jeong
김지윤ㆍ김재훈ㆍ김성범ㆍ박춘화ㆍ정성경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root causes of chemical accidents in South Korean industrial sites by applying an improved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단편적인 분류 항목을 개선한 새로운 화학사고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root causes of chemical accidents in South Korean industrial sites by applying an improved classification system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categories. The goal i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Methods: A total of 202 chemical accidents reported between 2021 and 2023 were reanalyzed using the new classification framework, focusing on accident type, cause, work activity, and associated equipment. Results: Leakage and spillage were the most frequent accident types, while minor incidents such as splashes have shown an upward trend. The main causes were non-compliance with safety procedures (38.6%) and poor inspection or maintenance (36.6%). Most accidents occurred during operations (19.3%) and were related to piping systems (46.6%). Conclusion: To reduce chemical accidents, four key strategies are proposed: enhancing worker training, improving safety and inspection systems, introducing a worker qualification system, and reinforcing field-based safety management.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단편적인 분류 항목을 개선한 새로운 화학사고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근본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현장의 안전성 제고와 실효성 있는 예방 대책 및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화학사고 현장조사보고서가 작성되기 시작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한 202건의 화학사고를 재분석하였다. 새로운 화학사고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사고 유형, 발생 원인, 사고 발생 시 작업 내용, 사고 설비의 네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사고 중 유·누출 사고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최근 3년간은 경미한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주요 원인은 안전절차 미준수(38.6%)와 점검‧유지보수 미흡(36.6%) 이며, 사고는 주로 공정 가동 중(19.3%) 및 배관 설비(46.6%)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네 가지 핵심 대책으로 작업자 교육 강화, 안전 절차 및 점검 체계의 정비, 근로자의 자격 제도 도입,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강화를 제안하였다.
-
A Study on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in Korean Workplaces Based on Causes and Incident Characteristics
-
Original Article

-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Training on Safety Behavior Enhancement in Construction Sites
감성지능 훈련이 건설현장 안전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
Kyoung Soo Kim, Yeon Cheol Shin, Yoo Mi Moon
김경수ㆍ신연철ㆍ문유미
- Purpose: In high‑risk workplac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unsafe behaviours often lead to serious or fatal accide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
연구목적: 건설현장과 같은 고위험 환경에서는 감성지능(EI) 훈련을 안전관리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이 안전 성과를 향상시키는 유망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
- Purpose: In high‑risk workplac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unsafe behaviours often lead to serious or fatal accide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training on promoting safe behaviour among construction workers. While prior research emphasised technical interventions, few studies explored the role of psychological competencies such as EI in safety performance. Method: We developed a theoretical path model to assess relationships between EI elements and safety behaviour through motivation. A pre–post design was applied to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231 construction workers. We used SPSS and AMOS to conduct path analysis and examin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sult: Self‑awareness did not directly affect motivation but exert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self‑regulation and social awareness. After training, participant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and causal reasoning improved by 36.75%, 37.53% and 38.32%, respectively. Conclusion: EI training increased psychological readiness and proactive safety engagement. These findings support the incorporation of EI development into safety education as a complementary strategy alongside traditional technical approach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to assess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se improvements and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across diverse occupational settings.
- COLLAPSE
연구목적: 건설현장과 같은 고위험 환경에서는 감성지능(EI) 훈련을 안전관리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이 안전 성과를 향상시키는 유망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주로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 감성지능 하위 요인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지 못한 공백을 보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EI의 하위 요인인 자기인식·자기조절·사회적 인식이 동기부여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건설 근로자 231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EI 하위 요인→동기부여→안전행동’이라는 이론적 틀을 경로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인식은 동기부여에 직접 영향이 없었지만 자기조절과 사회적 인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훈련 후 감정조절 36.75%, 충동조절 37.53%, 원인분석 38.32% 향상이 관찰되어 EI 훈련의 즉각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감성지능 훈련은 기존 기술 중심 대책을 보완하는 심리학적 개입으로서 건설현장의 안전행동을 증진시키고 불안전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조직 차원에서 EI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안전 문화를 선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의 장기적 지속성과 다양한 직무군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Training on Safety Behavior Enhancement in Construction Sites
-
Original Article

-
A Piezoelectric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Emergency Power Using Footfall Impact Energy from Bicycle Pedals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자전거 페달형 자동 충전장치 연구
-
Hong-yong Kim
김홍용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ortable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easily generate and store electric energy even in environments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 등 전력 공급이 취약한 환경에서도 쉽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 장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ortable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easily generate and store electric energy even in environments where power supply is weak, such as disasters. To this end, a piezoelectric ceramic-based module was developed that generates and stores electricity by utilizing the rolling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bicycle pedaling. Method: A piezoelectric ceramic structure that maximizes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s resistant to impact, and has high output characteristics was designed. In addition,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harvested micro power, a low-power driving circuit that can be applied to a narrow space and corrected for loss based on a rectified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was developed. The developed device has proven that it can be us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power supply is difficult by successfully generating and charg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moment it hits the pedal. In particular, unlike the existing power generation technology of the bicycle wheel contact/contactless method, the method using the direct hitting of the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mounted on the pedal is a unique technology that is difficult to find at home and abroad. Result and Conclusion: The devic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energy in connection with normal outdoor activities and public health promotion in addition to its usability as an emergency power source in case of a disast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securing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in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 등 전력 공급이 취약한 환경에서도 쉽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 장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자전거 페달링 시 발생하는 발구르기 충격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저장하는 압전 세라믹 기반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충격에 강하며 고출력 특성을 갖는 압전 세라믹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수확된 미세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낮은 정류회로 및 통합 회로(IC)를 기반으로 손실을 보정하고 협소한 공간에 적용 가능한 저전력 구동 회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페달을 타격하는 순간부터 전기에너지를 성공적으로 발생시키고 충전하여 전력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특히, 기존 자전거 휠 접촉/비접촉 방식의 발전 기술과 달리 페달에 장착된 압전 세라믹 소자의 직접 타격을 이용하는 방식은 국내외에서 사례를 찾기 어려운 독창적인 기술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장치는 재난 시 비상 전원으로서의 활용성뿐만 아니라, 평상시 야외 활동 및 국민 건강 증진과 연계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이는 향후 관련 분야에서 경쟁력과 기술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 Piezoelectric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Emergency Power Using Footfall Impact Energy from Bicycle Pedal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lief Items from the Beneficiary Perspective: Focused on the Victims in Cianjur, West Java, Indonesia
수혜자 관점에서의 재난구호물품 개선에 관한 연구: 인도네시아 서자바 치안주르 이재민 중심으로
-
Ji-Younge Ko, Jin-Ju Kim
고지영ㆍ김진주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relief supplies from the beneficiaries' perspective and provide insights for their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혜자 관점에서 구호 물품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호물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인도네시아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relief supplies from the beneficiaries' perspective and provide insights for their improvement.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71 disaster victims in Cianjur, Indonesi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statistical tool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identify group differences. Result: Essential items such as cooking utensils and food were rated highest in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hereas hygiene products and sanitizers received lower rating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recipients. The high importance placed on garbage bags suggests a need for improved waste management in disaster areas.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ontinuous management, prompt improvement, and prioritization of relief items based on beneficiary characteristic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혜자 관점에서 구호 물품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호물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인도네시아 치안주르 이재민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만족도 분석(IPA)과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존 필수품인 취사도구와 식료품은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나, 위생용품과 세정제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남녀 간 구호품에 대한 인식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쓰레기봉투의 높은 중요도는 폐기물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결론: 구호물품 구성 시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한 품목, 우선순위 조정이 필요한 품목, 수혜자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lief Items from the Beneficiary Perspective: Focused on the Victims in Cianjur, West Java, Indonesia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System for Preventing Recidivism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Using IOT Based Smart Devices
관계성범죄 재범방지를 위한 IOT기반 스마트워치 활용방안 제안
-
SeiYouen Oh, Hyejin Song
오세연ㆍ송혜진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ystem that can more effectively protect victims by detecting signs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착용자가 긴급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신체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관계성범죄의 재범 방지 및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ystem that can more effectively protect victims by detecting signs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even when the wearer cannot press the emergency button and preparing preventive measures to prevent recidivism and prevent relational crimes. Metho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smartwatch model and the proposed model, the efficiency of the quantum model was evaluated and the differences in function and operation were examined. Result: Various sensors detect signs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and when abnormal signs are identified, alarm mode is activated to operate the smartwatch's self-response mode and the crime response module linked to external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n integrated DB function was added to store data processed in each response mode and use it to prevent future recidivism Conclusion: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detected abnormalities in advance even when the emergency button could not be pressed, and proposed that the response mode linked to the smartwatch and external institutions be activat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prevent recidivism of relational crimes and minimize damage.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착용자가 긴급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신체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관계성범죄의 재범 방지 및 사전 예방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보다 효과적으로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존 피해자신변보호용 스마트워치 모델과 제안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양자 모델의 효율성을 평가하며 기능 및 운영상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다양한 센서를 통해 스마트워치 착용자의 신체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분석하며, 이상 징후가 확인되면 알람 모드를 활성화하여 스마트워치의 자체 대응 모드와 외부 기관과 연계된 범죄 대응 모듈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또한, 통합 DB 기능을 추가하여 각각의 대응 모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해 향후 재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긴급버튼을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도 사전에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스마트워치와 외부기관을 연계한 대응모드가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다른 범죄에 비해 재범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성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할 것이다.
-
A Study on System for Preventing Recidivism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Using IOT Based Smart Devices
-
Original Article

-
The Effe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SME Workers through Social Capital
재해경감활동이 사회적자본을 매개로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Nam-Il Song, ChongSoo Cheung
송남일ㆍ정종수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social capital among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상시근로자 300인 이하 중소기업 종사자 …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social capital amo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5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300 or fewer regular employe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 Results: BCM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ME workers, and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social capita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ME workers, an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establishing BCMS and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important factors in reducing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employee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상시근로자 300인 이하 중소기업 종사자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9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해경감활동은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자본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재해경감활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소기업의 재해경감활동 구축과 사회적 자본 강화가 중소기업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
The Effe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SME Workers through Social Capital
-
Original Article

-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by Expanding Fire Protection Objects and Interior Decorations Mandatory for Fire Protection
방염의무 소방대상물 및 실내장식물 확대를 통한 화재피해 저감 대책
-
Young-joo Ko, Bon-chan Ku, Yun-ho An, Jin-hyuck Gil, Hyun-geun Lee, Hana Park
고영주ㆍ구본찬ㆍ안윤호ㆍ길진혁ㆍ이현근ㆍ박하나
- Purpose: To analyze the fire risks of apartments, which have become the primary residential form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to find …
연구목적: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주요 주거 형태가 된 공동주택 화재의 위험성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화재 피해 저감 대책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화재 …
- Purpose: To analyze the fire risks of apartments, which have become the primary residential form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to find ways to reduce actual fire damage.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fire occurrence status in Gyeonggi Province and verified the feasibility of addressing issues in current fire prevention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legal analysis, fire prevention performance validation experiments, and estimation of fire prevention construction costs for new apartments.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e severity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in apartment fires, identified the ambiguity and inequity of current fire prevention laws, and validated the fire spread suppression effect of fire-retardant materials.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in apartments, including legal amendments, ordinance enactment, and insurance premium discounts.
- COLLAPSE
연구목적: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주요 주거 형태가 된 공동주택 화재의 위험성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화재 피해 저감 대책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화재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방염과 관련된 현행 법령 및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법령 분석 및 45도 연소시험법을 사용한 방염성능 유효성 실험 등 개선책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동주택 화재 시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심각성을 확인하였으며, 현행 방염 관련 법령의 모호성 및 형평성 문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방염 처리 물품의 화재 확산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로 아파트 화재 피해 저감을 위해 법령 개정, 보험료 할인, 방염 성능의 효과 유지 기간 연구 등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by Expanding Fire Protection Objects and Interior Decorations Mandatory for Fire Protection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a Deep Learning-Based Task Risk Assessment Model in Plant Construction
플랜트 건설에서 딥러닝 기반 작업 위험성평가 모델 구축 연구
-
Jinkeun Jung, Byeongcheol Jeong, Kyoshik Park
정진근ㆍ정병철ㆍ박교식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ep learning-based task risk assessment model capable of systematically identifying and evaluating hazardous and risk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건설현장에서 유해·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작업 위험성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경험과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ep learning-based task risk assessment model capable of systematically identifying and evaluating hazardous and risk factors at plant construction sites. The model is specifically designed systematically to be easily utilized by workers with limited experience or knowledge, thereby addressing the issue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xperience-based assessment methods. Method: A total of 976,140 risk assessment records from domestic construction Company A. were cleansed and pre-processed. A risk assessment model was then constructed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d a deep neural network(DNN). The model was trained and tested using a dataset of 18,000, with final validation conducted on 1,026 new risk assessments. Result: The developed model systematically recommends hazardous and risky factors and types of accidents based on working conditions, with more than 95.6% of the recommendations evaluated as appropriate by experts. In the final validation, the model recommended 6,380 items for 1,026 assessments across eight work types, all achieving suitability score of above 80, thereby meeting the model design criteria and demonstrating consistent recommendation quality and high applicability across all construction domains. Conclusion: By structuring large-scale unstructured safety data into a data-driven risk assessment model,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ubjective evaluation methods. The application of AI enhances consistency and efficiency in hazard identificati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건설현장에서 유해·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작업 위험성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근로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설계하여, 기존의 경험기반 평가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플랜트 건설사인 A사의 976,140건의 위험성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정제 및 전처리를 수행하고, LDA 기반 토픽 모델링과 심층 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위험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데이터셋 18,000개를 사용하여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최종 검증은 1,026건의 신규 위험성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모델은 작업조건에 따라 유해·위험 요인과 재해 유형 등을 체계적으로 추천하였고, 추천 결과의 95.6% 이상이 전문가에 의해 적합하다고 평가되었다. 최종검증을 통해 8개 공종의 위험성평가 1,026개에 대해 추천된 6,380개 전체가 추천 적합도 80 이상으로 모델 설계 기준을 만족하였고, 전 공종에서 일관된 추천 품질과 높은 적합성을 지님을 입증하였다. 결론: 대규모 비정형 안전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위험성평가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경험 및 주관적인 평가 방식에 한계를 보완하였다. AI 기술을 활용을 통해 위험 요소 도출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위험성 평가의 실효성을 높였다.
-
A Study on a Deep Learning-Based Task Risk Assessment Model in Plant Construction
-
Original Article

-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Severity Using XGBoost
XGBoost를 활용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
Byoung-Jo Yoon, Jae-Hwan Lee, Gun-Ju Lee
윤병조ㆍ이재환ㆍ이건주
- Purpos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a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to be inevitable after 2025. …
연구목적: 국내 고령인구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에는 초고령사회가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OECD평균 기대수명보다 국내 예상 수명이 더 높게 …
- Purpos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a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to be inevitable after 2025. Expected life expectancy in Korea is measured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whil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deaths in the elderly in Korea is 46%. This is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and accident factors need to be analyz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raffic accidents by analyzing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for elderly pedestrians in special cities and six metropolitan cities. Method: Severit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XGBoost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he importance of variables was visualized as a plot using SHAP.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case of pedestrians crossing, the case of night time zone, and the case where the perpetrator's vehicle is a truck ar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factors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and deriving the factors of increasing severity, and it is hoped that it can be used fo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improvement projects in the future.
- COLLAPSE
연구목적: 국내 고령인구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에는 초고령사회가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OECD평균 기대수명보다 국내 예상 수명이 더 높게 측정되고 있으며 이에 반해 국내 고령인구 교통사고 사망자는 43.6%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사고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특별시 및 6개 광역시에서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XGBoost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심각도를 분석하였으며 SHAP를 활용하여 변수중요도를 plot으로 시각화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횡단중인 보행자인 경우, 야간시간대일 경우, 가해운전자 차종이 화물차일 경우 등이 사고 심각도가 높아지는 영향을 미친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보행자 사고의 요인을 분석하고 심각도 증가의 요인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개선 사업 등의 참고 자료에 활용할 수 있기 바란다.
-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Severity Using XGBoost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Complexity of Wildfire Disasters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Integrate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기후변화 시대 산불 재난의 복합성 연구: 환경·경제·사회 차원 통합 평가와 재난관리 개선 방안
-
Min-koan Kim
김민관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ultidimensionally analyze the damages caused by wildfires across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ecological, and health sectors, while identifying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불로 인한 환경, 경제, 사회, 생태계, 건강 분야의 피해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산불 이후 발생하는 산사태·홍수 등의 2차 재해가 사회기반시설에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ultidimensionally analyze the damages caused by wildfires across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ecological, and health sectors, while identifying the impacts of secondary disasters(landslides and floods) on social infrastructure. Method: Drawing on international guidelines from the UNDRR and IPCC, as well as domestic legislation including the Forest Protection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damage types were classified. Quantitative analysis and legal system evaluation were performed using major wildfire cases in Korea from 2019 to 2025. Result: Results indicate that wildfires induce changes in topographic and hydrological environments, triggering cascading damages to infrastructure like roads, rivers, and communication networks. Notably, the 2025 Uiseong wildfire exhibited complex impacts, including 36,000 evacuees and cultural heritage losses, highlighting response limitations due to fragmented standards for individual disaster elements. Conclusion: In conclusion, effective management of wildfire-induced complex disasters requires shifting from firefighting-centric approaches to preemptive systems focused on multidimensional damage prediction and infrastructure protection. This necessitates revisions to construction standards, development restrictions in high-risk area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불로 인한 환경, 경제, 사회, 생태계, 건강 분야의 피해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산불 이후 발생하는 산사태·홍수 등의 2차 재해가 사회기반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UNDRR, IPCC 등 국제 지침과 「산림보호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등 국내 법령을 기준으로 피해유형을 분류하고, 2019~2025년 주요 산불 사례를 통해 정량적 분석과 법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불은 지형·수문 환경의 변화를 유발하여 도로, 하천, 통신 등 기반시설에 연쇄적 피해를 유발한다. 특히 2025년 의성 산불 사례는 피난민 3만6천 명, 문화재 소실 등 복합피해가 나타났으며, 관련 기준은 각 재해 요소별로 분절되어 대응의 한계가 드러났다. 결론: 산불에 따른 복합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단순 진화 중심의 대응에서 벗어나 다차원적 피해 예측 및 기반시설 중심의 사전 예방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건설기준 개정, 위험지역 개발 제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도입이 요구된다.
-
A Study on the Complexity of Wildfire Disasters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Integrate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
Original Article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Firefighters at a Disaster Site
재난 현장에서 소방 구조대원의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
JungWoo Lee, ChongSoo Cheung
이정우ㆍ정종수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depth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trauma, emotional reactions, ethical conflicts, and recovery processes experienced by fir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 현장에서 활동하는 소방 구조대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충격, 정서적 반응, 윤리적 갈등 및 회복 과정의 구조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depth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trauma, emotional reactions, ethical conflicts, and recovery processes experienced by fire and rescue personnel working at disaster sites. In particular, we aimed to analyze how rescuers experience and internalize emotional labor during their work. Metho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conduct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ix firefighters with more than 12 years of rescue experience.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and thematically analyzed to derive meaning from emotional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es. Result and Conclusion: Three categories emerged: crisis response and psychological trauma, the interplay of emotional experience and empathy, and self-completion and sense of calling. Rescuers experienced the tension of deployment, the visual shock of the scene, emotional disconnection from family, emotional recovery through peer groups, and reaffirmation of professional meaning through successful rescues. Rescue workers do not simply suppress or ignore their emotions, but regulate and recover them and construct meaning in their work.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stitutional recognition and policy support for rescue workers’ experiences of emotional labor and recovery.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 현장에서 활동하는 소방 구조대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충격, 정서적 반응, 윤리적 갈등 및 회복 과정의 구조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구조대원들이 직무 수행 중 감정노동을 어떻게 경험하고 내면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구조 경력 12년 이상의 소방 구조대원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범주화 및 주제 분석을 통해 정서적 경험과 회복 과정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위기 대응과 심리적 충격, 정서적 경험과 공감의 상호작용, 자기 극복과 소명 의식의 세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구조대원들은 출동의 긴장감, 현장의 시각적 충격, 가족과의 감정 단절, 동료 집단을 통한 정서 회복 등을 경험하였으며, 구조 성공을 통해 직업적 의미를 재확인하고 있었다. 구조대원은 감정을 단순히 억제하거나 방치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를 조절하고 회복하며 직무 속에서 존재 의미를 구성하는 주체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조대원의 감정노동과 회복 경험에 대한 제도적 인식과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Firefighters at a Disaster Site
-
Original Article

-
Influence of Spatial, Environmental, and Managerial Factors on Stairwell Fire Door Opening in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에서 공간적·환경적·관리적 요인이 계단실 방화문 개방에 미치는 영향
-
Sanghun Kim, Jaeyoung Lee
김상훈ㆍ이재영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patial,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factors in apartment buildings on the usability of stairwell fire doors,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공간·환경적 특성과 관리 요인이 계단실 방화문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간·환경·관리 요인에 …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patial,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factors in apartment buildings on the usability of stairwell fire doors, identifies issues,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Method: Seven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checklist-based field survey was conducted. Survey items included building scale, layout, age, lobby floor area, window installation, fire door condition, type of door closer, presence of obstructions, and door operation. These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ir influence on fire door malfunction and opening rates. Result: Many fire doors remained open regardless of door closer type, with 54.9% of malfunctions caused by intentional obstruction. Fire door opening rat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uilding age, decreasing with larger lobby areas but increasing with higher levels of obstructions near doors and within stairwells. Conclusion: Expanding lobby floor area and managing obstructions are effective in reducing fire door opening rates, while resident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are also necessary.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공간·환경적 특성과 관리 요인이 계단실 방화문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간·환경·관리 요인에 따른 7개 가설을 설정하고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건물 규모, 공간적 형태, 경과 연수, 승강장 바닥면적, 창호 설치 유무, 방화문 상태, 도어클로저 종류, 적치물 유무 및 방화문의 개폐 여부 등이며, 이를 통해 요인이 방화문의 비정상률과 개방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수의 방화문이 도어클로저 종류와 관계없이 개방된 상태였으며, 비정상률의 54.9%는 임의적치물에 의한 고정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방화문 개방률은 건물 경과 연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승강장 바닥면적이 넓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방화문 인접부 및 계단실 적치물이 많을수록 개방률이 증가하였다. 결론: 승강장 바닥면적 확대와 철저한 적치물 관리가 방화문 개방률 저감에 효과적이며, 입주민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
-
Influence of Spatial, Environmental, and Managerial Factors on Stairwell Fire Door Opening in Apartment Buildings
-
Original Article

-
Aeroelastic Stability Evaluation of a Cable-Stayed Bridge Considering Attached Added Facilities
교량 첨가시설물을 고려한 사장교의 내풍 안정성 평가
-
Ki-Jung Bang, Young-Jin Kim, Il-Young Jang, Seong-Kyum Kim
방기정ㆍ김영진ㆍ장일영ㆍ김성겸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a cable-stayed bridge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a power distribution conduit and a mobile …
연구목적: 사장교의 2차원 단면 교량모델에 대한 원 설계 당시의 전산유동장 해석결과(CFD)와 교량에 배전관로 및 이동식 점검차 레일 첨가 시 2차원 모델의 결과를 …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a cable-stayed bridge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a power distribution conduit and a mobile inspection car rail.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mparatively analyz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results from the original two-dimensional bridge cross-section model and a modified model incorporating these new facilities. Method: The fluid flow was modeled as an unsteady, incompressible flow, governed by the Navier-Stokes equations. Result: The CFD analysis of the modified cross-section yielded a drag coefficient of 1.48. This value represents an approximate 2.8% increase compared to the drag coefficient derived from the CFD analysis of the original cross-section without the additional installations. Conclusion: The calculated drag coefficient of 1.48 remains below the original design value of 1.52, which was used for the initial wind load computations. Consequently,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additional facilities do not necessitate an increase in the originally established wind load.
- COLLAPSE
연구목적: 사장교의 2차원 단면 교량모델에 대한 원 설계 당시의 전산유동장 해석결과(CFD)와 교량에 배전관로 및 이동식 점검차 레일 첨가 시 2차원 모델의 결과를 상호 비교검토 하여 교량 첨가시설에 따른 사장교의 내풍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기류의 해석조건은 비정상, 비압축성기류, 일정 물성치의 특성을 갖는 유동으로 가정하였고, 지배 방정식은 Navier-Stokes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장교에 배전관로 및 이동식 점검차 레일의 첨가시설에 따른 변경 된 단면에 대한 CFD 해석결과 구해진 항력계수는 1.48로 확인되었고, 배전관로 및 이동식 점검 차 레일 설치 전 단면의 CFD결과에 비해 2.8% 정도로 항력계수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 원 설계 당시 교량의 보강형 풍하중 산정 시 설계 적용치인 1.52에 비해 작은 값으로 검토 되었다. 실제 설계에 비해 더 작은 값의 항력계수를 갖게 됨으로 풍하중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
Aeroelastic Stability Evaluation of a Cable-Stayed Bridge Considering Attached Added Facilitie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Through analysis of Potential Risks by Construction Type
건설 공종별 잠재적 위험 분석을 통한 안전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Eun-Hee Jeon, Eun-Gu Ham
전은희ㆍ함은구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otential risk factors that may occur at construction sites, systematically identify and evaluate …
연구목적: 본 논문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식별. 평가하여 공종별 특성에 맞는 안전 방안을 마련하여 산업재해 …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otential risk factors that may occur at construction sites, systematically identify and evaluate them, establish appropriate safety measures for each type of work, predict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accidents, and present a plan to effectively apply them to the site to reduce accidents. Method: Risks were identified for the types of work being performed at construction sites, and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prioritizing them using domestic literature and construction accidenst statistics. Result: After analyzing risk factors by type of work and applying the safety management plan to the site, we confirmed that accident prevention and accident rate reduction occurred. Conclusion: Based on various data from construction sites, safety measures for risk factors by type of work can be proposed, and by introducing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safety and health level of the workplace can be improved.
- COLLAPSE
연구목적: 본 논문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식별. 평가하여 공종별 특성에 맞는 안전 방안을 마련하여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건설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종을 대상으로 위험 도출하였고 국내 관련 문헌, 건설사고 통계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위험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종별로 위험 요소를 분석하여 도출된 안전 관리 방안을 현장에 적용한 후 재해 예방 및 사고율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 건설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종별 도출된 위험에 대한 안전대책을 제안하고 실효성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사업장의 안전보건 수준을 높일 수 있다.
-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Through analysis of Potential Risks by Construction Type
-
Original Article

-
The Impact of Financial Institution Employees' Perception of BCMS on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금융기관 종사자의 BCMS 인식이 조직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wan-Su Jang, Chang-Deok Lee, Hong-Seok Kim, Sung-Yun Lim, Ji-Young Son, Won Souk Eoh
장관수ㆍ이창덕ㆍ김홍석ㆍ임성윤ㆍ손지영ㆍ어원석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safet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업무연속성관리시스템(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과 조직몰입이 조직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in financial institution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to collect data on BCM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rough SPSS 26.0 and AMOS 26.0. Result: All components of BCMS—organizational status, leadership, support, operations, and performance evaluation—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operations having the strongest influence. Additionally, BCMS component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Further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CM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thereby reinforcing the impact of BCMS on safety cultur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BC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f financial institut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financial institutions to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BCMS and to strategically enhance employee education and training aimed at promoting a strong safety culture within the organization.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업무연속성관리시스템(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과 조직몰입이 조직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CMS, 조직몰입, 조직 안전문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BCMS의 구성 요소인 조직현황, 리더십, 지원, 운영, 성과평가는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BCMS 구성 요소들은 조직 안전문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몰입은 BCMS와 조직 안전문화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BCMS와 조직몰입이 조직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이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BCMS와 조직몰입이 금융기관의 조직 안전문화에 있어 핵심적인 영향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은 BCMS의 내실화와 함께 구성원의 조직 안전문화 제고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전략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
The Impact of Financial Institution Employees' Perception of BCMS on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Original Article
-
A Legal Study on Japan’s Occupational Heat Illness Prevention for Workers under Heatwaves: Focusing on the 2025 Amendment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and the WBGT-Based Multi-Layered Framework
폭염 대응을 위한 일본의 근로자 온열질환 예방 법제 연구: 2025년 개정 노동안전위생규칙과 WBGT 지수 기반 다층적 대응체계를 중심으로
-
Yulee Shin
신유리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Japan’s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reventing occupational heat- related illnesses under the climate crisis and explores implications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후위기 심화로 구조화된 폭염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근로자 온열질환 예방 법제도를 분석하고, 한국 법체계 개선 방향과 입법과제를 제시하는 …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Japan’s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reventing occupational heat- related illnesses under the climate crisis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Korea. It focuses on the WBGT index legislation, the revision of JIS Z 8504,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the nationwide “STOP! Heatstroke, Cool Work Campaign” as elements of a multi-layered system.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norm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on Japan’s heatstroke prevention policies and laws. Materials such as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Heatstroke in the Workplace, the revised JIS Z 8504, and related campaig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Korea’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egislation. Results: Japan’s system features: (1) scientific, index-based risk assessment; (2) clarified principles and procedures; (3) multi-level institutional coordination; and (4) integration of hard and soft law. Conclusion: Korea’s framework remains insufficient in using scientific indicators, linking institutions, and fostering preventive culture. Legal adoption of the WBGT index, tailored guidelines, and tripartite campaigns are needed to strengthen protection of workers’ health rights.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후위기 심화로 구조화된 폭염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근로자 온열질환 예방 법제도를 분석하고, 한국 법체계 개선 방향과 입법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WBGT 지수 법제화, JIS Z 8504 개정, 실행 가이드라인 및 사회적 캠페인이 결합된 일본의 다층적 제도체계를 검토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일본의 온열질환 예방 정책·법제에 대한 문헌분석과 규범분석을 실시하고, 「직장에서의 열사병 예방 기본대책요강」, JIS Z 8504 개정안, ‘STOP! 열사병 쿨워크 캠페인’ 등을 한국 산업안전보건법령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일본의 근로자 온열질환 예방 체계는 ▲과학적 지표 기반의 위험성 평가, ▲기본 원칙과 세부 절차의 명확화, ▲다층적 제도 연계, ▲경성 규범과 연성 규범의 결합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결론: 한국의 폭염 대응 법체계는 일본과 달리 과학적 지표를 활용한 객관적 위험성 평가, 다층적 제도 간 유기적 연계, 사회적 캠페인을 통한 예방문화 확산 측면에서 미흡하다. 따라서 ▲WBGT 지수 법제화, ▲산업·사업장 맞춤형 가이드라인 마련, ▲노사정 참여형 캠페인 확대 등을 통해 근로자 건강권 보장을 위한 법제 기반 강화가 요구된다.
-
A Legal Study on Japan’s Occupational Heat Illness Prevention for Workers under Heatwaves: Focusing on the 2025 Amendment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and the WBGT-Based Multi-Layered Framework
-
Original Article

-
An Analysis of Case Studies and Preferences for Improving Civil Defense Shelter Guide Signs
민방위 대피시설 안내표지판 개선을 위한 사례 및 선호도 분석
-
Taeho Jung, Sanghoon Yoon, Kuyoon Kim
정태호ㆍ윤상훈ㆍ김구윤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ivil defense shelter guide signs from the perspective of problem awareness regarding th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민방위 사태가 아닌 평시 상황에서의 금지 및 위험경고등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는 것에 대한 문제 인식 관점에서 민방위 대피시설 안내표지판에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ivil defense shelter guide signs from the perspective of problem awareness regarding the continuous exposure of colors associated with prohibition or hazard warnings during peacetime, not civil defense emergency situations. Method: This study aimed to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related to civil defense shelter guide signs, conduct a public survey,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guide signs by color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opinions regarding the change of guide sign colors between 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s. Result: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analysis by color of the guide sign were green (4.1333), red (3.2083), and yellow (2.6750), and the preference for green was high in all items (stability (psychology), visibility, reliability, and informativ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image recognition by color. In the case of normal and emergency, the method of changing from green to red in the case of emergency was the highest at 62.5%. Conclusion: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s and to ensure accessibility and spee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during emergenc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lor change of the sign and prepare an operation plan for it.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민방위 사태가 아닌 평시 상황에서의 금지 및 위험경고등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는 것에 대한 문제 인식 관점에서 민방위 대피시설 안내표지판에 대한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민방위 대피시설 안내표지판 관련 국내외 현황조사, 국민대상 설문조사 실시, 분산분석(ANOVA)을 통한 색상별 안내표지판 인식차이 비교, 평상시와 비상사태시 색상변경 관련 의견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안내표지판 색상별 선호도 분석 결과는 녹색(4.1333), 빨강(3.2083), 노랑(2.6750) 순으로 평상시 녹색 바탕의 안내표지판을 선호하고, 색상별 이미지 인식 차이 분석 결과, 모든 항목(안정성(심리), 시인성, 신뢰성, 정보성 )에서 녹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도출되었다. 평상시와 비상사태시의 경우, 평상시에는 녹색에서 비상사태시 빨간색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평상시와 비상사태시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고, 비상사태 발생시 정보전달의 접근성 및 신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안내표지판의 색상변경검토 및 이에 대한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An Analysis of Case Studies and Preferences for Improving Civil Defense Shelter Guide Signs
-
Original Article

-
Analysis of Truck Accident Sever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EPDO Sets
EPDO 가중치에 따른 수도권 화물차 사고 심각도 분석에 관한 연구
-
Min Seo Park, Byoung Jo Yoon
박민서ㆍ윤병조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verity of truck-related crash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물차 교통사고의 심각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EP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가중치 세트에 따른 사고 심각도 …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verity of truck-related crashe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In particular,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rash severity based on two sets of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EPDO) weights,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safety measur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ruck crashes.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wo dataset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PDO weight sets, 12:6:3:1 and 3:3:3:1. The optimal model was selected using the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GBM),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rics of the two datasets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variable importance of each model was presented using feature importance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of mode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crash severity prediction error was lower in EPDO_B compared to EPDO_A, resulting in more reliable outcomes. Additionally, the key influencing factors on crash severity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confirming that predicting human casualties is relatively easier than predicting crash severity.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ruck crash severit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future traffic safety policies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that focus on predicting human casualties and highlights that more preci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essential for effective crash prevention.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물차 교통사고의 심각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EP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가중치 세트에 따른 사고 심각도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개선된 EPDO 가중치에 따른 심각도 영향요인의 변화와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여 화물차 사고의 원인에 따른 안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종속변수를 12:6:3:1, 3:3:3:1의 두 가지 EPDO 가중치 세트의 차이에 따라 두 가지 데이터 세트로 구성하였으며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을 기반하여 최적의 모델을 선정하여 두 데이터 세트의 모형 성능 평가 지표 결과 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모델의 변수 중요도를 Feature importance를 통해 나타냈다. 연구결과: 모델 성능 분석 결과, EPDO_A보다 EPDO_B에서 사고 심각도 예측 오차가 낮아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며, 사고의 경중보다는 인적 피해 예측이 상대적으로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화물차 사고의 심각도 분석을 통해 향후 교통안전 정책 및 인프라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적 피해 예측을 중심으로 한 교통안전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보다 정교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사고 예방의 핵심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Analysis of Truck Accident Sever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EPDO Sets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Vulnerable Indica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Related Laws Requiring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 Act
중대재해처벌법 요구 안전보건관계법령 이행 취약지표에 관한 연구
-
Sang-Ho Kim, Ok-Nam Park
김상호ㆍ박옥남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group-specific compliance levels wi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s and regulations …
연구목적: 00공단 조직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계법령의 그룹별 이행확인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취약지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지역별 그룹핑을 통해 안전보건관계법령 이행확인 지표별 …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group-specific compliance levels wi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s and regulations within the 00 Public Corporation to identify vulnerable indicators. Method: Through regional grouping, performance rate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compliance indicat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various units of the target organization. The compliance level for each indicator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and vulnerable indicators were identified. Result: Most groups recorded a compliance level of over 80%, demonstrating an active tendency towards legal compliance. However, persistently low performance rates were observed in the indicators for soliciting worker opinions and verifying mandatory training. This was confirmed as problems involving biased opinion submission, low participation, and some training content failing to meet legal standards. Conclusion: The indicators for soliciting worker opinions and verifying mandatory training were identified as major vulnerabilities. This suggests that,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s safety management level and policy formulation, activating worker opinion channels and supplementing the legal suitability of training content are primarily required.
- COLLAPSE
연구목적: 00공단 조직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계법령의 그룹별 이행확인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취약지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지역별 그룹핑을 통해 안전보건관계법령 이행확인 지표별 수행률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지표별 이행수준을 정량 평가하고 그룹 간 차이를 비교했으며, 취약지표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그룹이 80% 이상의 이행수준을 기록하며 법령 준수에 적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종사자 의견 청취와 의무교육 점검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낮은 수행률이 나타났다. 이는 의견 제안의 편중과 낮은 참여율, 그리고 일부 교육 내용이 법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로 확인되었다. 결론: 종사자 의견 청취 및 의무교육 점검 지표가 주요 취약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의 안전관리 수준 향상 및 정책 수립을 위해 종사자 의견 청취 활성화와 교육 내용의 법적 적합성 보완이 우선으로 요구됨을 시사한다.
-
A Study on the Vulnerable Indica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Related Laws Requiring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 Act
-
Original Article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rine Ship Accident Fishing Training Vessel Manual
해양선박사고 어선실습선 매뉴얼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Yoonkuk Joo, Geum-cheol Jeong
주윤국ㆍ정금철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risk factors of fishing vessel training ship to derive effective marin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선 실습선의 잠재적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해양사고 대응 매뉴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문조사, 전문가 …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risk factors of fishing vessel training ship to derive effective marine accident response manual improvement measures Method: Through surveys, expert interviews, statistics and literature analysis, risk factors of fishing vessel and problems of current manuals were identified Result: The current marine accident response manual had structural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effectively manage the inherent risk factors of fishing vessel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collaboration system, complexity, and uniformity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the field, we present the improvement of the field-oriented manual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modular digital response system and strengthening practical training,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manual.
- COLLAP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선 실습선의 잠재적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해양사고 대응 매뉴얼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문조사, 전문가 인터뷰, 통계 및 문헌 분석을 통해 어선 실습선의 위험 요인과 현행 매뉴얼의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해양사고 대응 매뉴얼은 협업 체계 부재, 복잡성, 획일성 등의 문제로 어선 실습선의 고유한 위험 요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현장의 작동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획일적 매뉴얼에서 벗어나, 모듈형 디지털 대응 체계 구축과 실전적 훈련 강화를 중심으로 하는 현장 중심의 매뉴얼 개선안을 제시한다.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rine Ship Accident Fishing Training Vessel Manual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