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A Study on Loss and Damage Ratio of Subway Tunnel Monitoring Sensor due to Flooding Accident

    침수사고로 인한 지하철터널 계측센서의 손망실율 연구

    Jong-Tae Woo

    우종태

    Purpose: In this paper, the loss and damage ratio of sensors measuring subway tunnels in a few sections of subway lines 5 …

    본 논문은 침수사고가 발생된 지하철 5호선과 9호선 일부구간의 침수 전후와 2년 경과기간 동안의 지하철터널 계측센서의 손망실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계측센서 침수일 부터 2년 …

    + READ MORE
    Purpose: In this paper, the loss and damage ratio of sensors measuring subway tunnels in a few sections of subway lines 5 and 9 where floodings occurred was analyzed for two elapsed years. Method: The net loss and damage ratio during the two years from the flooding date was 13.4%, which was a gap between 48.9% and 35.5%. The result obtained in the loss ratio of subway lines 5,6,7,9, which were 14.2% and 14.8% respectively, and this can be considered to be a reasonable result since it is similar to the data shown above. Result: Additionally,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analysis of case and waterproof testing of monitoring sensors, 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ables. Conclusion: The loss and damage ratio was 35.5% for 10 days to 30 days and 48.9% for 2 years.


    본 논문은 침수사고가 발생된 지하철 5호선과 9호선 일부구간의 침수 전후와 2년 경과기간 동안의 지하철터널 계측센서의 손망실율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계측센서 침수일 부터 2년 경과연수 동안의 순 손망실율은 48.9%에서 35.5%를 빼면 13.4%로 지하철 5, 6, 7, 9호선의 손망실율 14.2%에서 14.8%와 경과연수는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값을 보여 합리적인 손망실율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향후 추가적인 사례조사 분석과 계측센서 및 센서와 케이블의 연결부에 대한 방수시험 등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침수 기간 10일에서 30일간의 손망실율은 35.5%, 침수 2년 동안은 48.9%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Analysis of Human Casualty Factors in Chemical Accidents in Transportation Vehicle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운송차량 화학사고 인명피해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Dong Yeup Kim, Tae-Hyung Lee

    김동엽ㆍ이태형

    Purpose: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accidents in transportation vehicles that occurred from 2014 to 2023 and the factors affecting …

    연구목적: 본 연구를 통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운송차량 화학사고 특성과 인명피해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로 위에서 발생이 많은 운송차량 화학사고는 피해 확산을 …

    + READ MORE
    Purpose: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accidents in transportation vehicles that occurred from 2014 to 2023 and the factors affecting human casualties were analyzed. Chemical accidents involving transportation vehicles, which often occur on the road, can be more dangerous as they often occur in situations where there are no safety devices or response personnel to prevent the spread of damage, so appropriat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re needed. Method: The type of chemical accident caused by a transport vehicle was 161 out of 166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r 97% of the tota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human casualties, the ‘leakage amount’ varia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p<0.05). Result and Conclusion: Therefore, prevention measures against this need to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multifaceted efforts are needed, such as preparing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through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cause casualties in chemical accidents in transportation vehic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ith a high causal relationship


    연구목적: 본 연구를 통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운송차량 화학사고 특성과 인명피해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로 위에서 발생이 많은 운송차량 화학사고는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안전장치나 대응 인력이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 및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운송차량에 의해 발생한 화학사고 유형은 누출에 의한 사고가 전체 166건 중 161건이었고 비율적으로는 97%를 나타냈다. 또한, 인명피해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누출량”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결과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사고가 누출에 의한 사고였고 인명피해 영향요인 분석 결과에서도 누출이라는 변수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따라서, 이에 대한 예방 방안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향후 운송차량 화학사고 인명피해 발생 요인과 인과관계가 높은 독립변수 발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Development of Maintenance Method Model based on Digital-twin in Fire Protection systems of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가동원전 화재방호시스템의 디지털-트윈 기반 유지·보수 방법 모델 개발

    Hyeon-Hyeok Yang, Min-Hyeok Ko, Kyeong-Min Kim, Eun-Soo Son, Sang-Il Kim, Doo-Chan Choi

    양현혁ㆍ고민혁ㆍ김경민ㆍ손은수ㆍ김상일ㆍ최두찬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intenance method for fire protection systems i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using digital-twin technology, focusing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가동원전의 화재방호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Active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노심손상빈도(CDF)를 저감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intenance method for fire protection systems i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using digital-twin technology, focusing on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active systems and reducing Core Damage Frequency (CDF). Method: A sprinkler system was constructed, and a Digital-twin platform was developed using WebXR technology. The platform integrates real-time data collection, 3D modeling, and visualization of water flow in the sprinkler system. Result: The developed digital-twin platform successfully visualizes the sprinkler system’s operation, including water flow, pressure, and flow rate. It enables real-time monitoring, anomaly dete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fire protection system. Conclusion: The digital-twin based maintenance model offers a more efficient and proactive approach to maintaining fire protection systems in nuclear power plants. This potentially improves safety 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active systems and contributing to CDF reduc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가동원전의 화재방호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Active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노심손상빈도(CDF)를 저감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WebXR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이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3D 모델링,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물 흐름 시각화를 통합한다. 연구결과: 개발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작동, 물 흐름, 압력, 유량 등을 성공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화재 방호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 이상 감지, 성능 분석이 가능해졌다. 결론: 디지털 트윈 기반 유지보수 방법 모델은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시스템 유지보수에 더욱 효율적이고 선제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이는 Active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CDF 저감에 기여함으로써 잠재적으로 안전성을 개선이 가능하다 판단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awater Risk in Coastal Areas during Typhoon

    태풍 시 해안지역 해수 위험성 평가방안 연구

    Hun-Hui Lee, Young-Seok Kwon

    이훈희ㆍ권영석

    Purpose: It’s to a quantitative evaluation plan for seawater risk to determine the timely advance evacuation of coastal residents in the event …

    연구목적: 태풍 시 해안지역 주민의 적시적 사전대피를 판단하기 위한 해수 위험성에 대한 계량적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태풍 시 해수 위험성을 …

    + READ MORE
    Purpose: It’s to a quantitative evaluation plan for seawater risk to determine the timely advance evacuation of coastal residents in the event of a typhoon. Method: After defining the risk of seawater during a typhoon,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influencing factors such as tidal, storm surge, and waves, and detailed application criteria for each influencing factor,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results, risk area selection, and real-time response measures were presented. Result: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of seawater risk in coastal areas during typhoon are valid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safe evacuation of residents at that time. Conclusion: Until now there has been a disaster response manual at the government level related to typhoons, there has been no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vacuate from the prespective of coastal residents. When applying the criteria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ability and public security will be greatly improved.


    연구목적: 태풍 시 해안지역 주민의 적시적 사전대피를 판단하기 위한 해수 위험성에 대한 계량적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태풍 시 해수 위험성을 정의한 후 영향요소인 조석, 폭풍해일, 파도로 나누어 분석하고, 영향요소별 세부 적용기준과 평가체계 개발결과, 위험지역 선정 및 실시간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시된 태풍 시 해안지역 해수 위험성 평가 기준과 대피조건은 타당성이 있으며, 태풍 시 주민의 안전한 대피를 결정할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결론: 그동안 태풍 관련 정부 차원의 재난대응매뉴얼은 있었으나, 정작 해안 주민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대피여부 판단기준이 없었다. 본 논문이 제시한 기준 적용 시 정부의 재난대응력과 국민의 안전보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Proposal for a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to Reduce Heavy Weight Impact Noise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제안

    Chan-Won Park, Ok-Nam Park

    박찬원ㆍ박옥남

    Purpose: Researching flooring materials that use rubber dampers to disperse impact on the floor and reduce slab vibrations, thereby minimizing noise. Method: …

    연구목적: 고무완충재를 활용하여 바닥충격을 분산시키고 슬래브 진동을 저감하는 원리를 통해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바닥 재료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재 사용되고 있는 …

    + READ MORE
    Purpose: Researching flooring materials that use rubber dampers to disperse impact on the floor and reduce slab vibrations, thereby minimizing noise.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ly used floating floor structure and cushioning materials will be analyzed to assess their impact on reducing heavy impact noise. Next,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ubber cushioning will be examined to evaluate its suitability for reducing heavy impact noise. Various conditions will be considered to design a floor structure that incorporates rubber cushioning, and its noise reduction effectiveness will be experimentally verified. To achieve this, a simulated floor structure will be constructed in a laboratory setting,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analyzed to evaluate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rubber cushioning. Optimal design solutions for a floor structure utilizing rubber cushioning will be derived from this analysis. Result: The potential for reducing heavy impact noise by 8dB through the installation of floor dampers in an anti-vibration structure was suggested. Conclusion: The level of inter-floor noise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numerous factors, making it essential to conduct noise tests in certified locations. Testing a wide range of materials with applied vibration-damping materials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reducing heavy impact noise.


    연구목적: 고무완충재를 활용하여 바닥충격을 분산시키고 슬래브 진동을 저감하는 원리를 통해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바닥 재료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재 사용되고 있는 뜬 바닥구조와 완충재의 특성을 분석하여 중량충격음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것이다. 이후 고무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고, 중량충격음 저감에 적합한 재료인지 평가할 것이다. 다양한 조건에서 고무완충재를 적용한 바닥구조를 설계하고,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실험실 환경에서 모의 바닥구조를 구축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고무완충재의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를 평가하고, 고무완충재를 활용한 바닥구조의 최적 설계 방안을 도출할 것이다. 연구결과: 방진구조로 바닥완충재 설치 시 중량충격음을 8㏈ 저감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층간소음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소음측정 결과 값 정도가 바뀐다. 시험의 장소가 공인된 장소로 하고 방진자재가 적용된 자재를 많이 시험하여 중량충격음 저감에 대한 효과 검증이 더욱더 요구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Building a National Safety System to Prepare for Unpredictability: Study on Preemptive Response Systems for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예측 불가능성에 대비하는 국가 안전 시스템 구축: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에 대한 사전 대응 체계 연구

    Hyun-Soo Ahn, Yeong-Tak Kwon, Jeeyoung Lim

    안현수ㆍ권영탁ㆍ임지영

    Purpose: Since disasters have serious impacts on human life, economy, and society, there is a growing need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In …

    연구목적: 재난은 그 피해가 인명, 경제,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거의 사후 …

    + READ MORE
    Purpose: Since disasters have serious impacts on human life, economy, and society, there is a growing need to strengthen response capabilities. In the past, post-disaster response methods focused on recovery after a disaster occurred. However, at present, a more strengthened response system and preventive approach are required throughout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and suggest practical policies for establishing a pre-disaster response system. Method: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studies, we deep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nd the causes of their unpredictability. Based on policy analysis through domestic disaster cases, we diagnos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isaster response system. Through this, we derive key element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pre-disaster response system, and then suggest policies for establishing a pre-disaster response system.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a pre-disaster prevention-centered paradigm, four risk factors were derived: social conflict, economic vulnerability, aging infrastructure, and cyber security vulnerabilitie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pre-disaster respons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and the strengthening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as key elements. Conclus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omplexity and unpredictability of disasters, a multifaceted approach is essential, including improving laws and systems, expanding budgets, reorganizing organizations, expanding citizen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can reduce the average annual damage cost of 1.2 trillion won.


    연구목적: 재난은 그 피해가 인명, 경제,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거의 사후 대응 방식은 재난 발생 후 복구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사회 전반에서는 보다 강화된 대응 체계와 예방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사전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이론적 기반 마련 및 실제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 자연 및 사회재난 현황과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재난의 특성과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다. 국내 재난 사례를 통한 정책 분석을 기반으로 기존 재난대응시스템의 문제점 진단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사전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한 후, 사전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사전 예방 중심 패러다임의 필요성에 따라 사회적 갈등, 경제적 취약성, 노후화된 인프라, 사이버 보안 취약의 4가지 리스크요인을 도출하였다. 효과적인 재난 사전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하여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 및 국민 참여 및 대응 역량 강화가 핵심 요소로 도출되었다. 결론: 재난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의 개선, 예산 확대, 조직 개편, 국민 참여 확대, 국제 협력 강화라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연평균 발생하는 1.2조원의 피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Safety Management in Advanced Air Mobility: Technical Strategies Utilizing Helicopter Data

    도심항공교통의 안전관리: 헬리콥터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적 전략

    Hae Yoon Byeon,Yu-Chan Na, Hyun-Jin Jeong

    변해윤ㆍ나유찬ㆍ 정현진

    Purpose: To present a technical strategy for develop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helicopter data in the urban air traffic (AAM) field. …

    연구목적: 도심항공교통(AAM) 분야에서 헬리콥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안전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한 기술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AAM 상용화에 필요한 선제적 예방 …

    + READ MORE
    Purpose: To present a technical strategy for develop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helicopter data in the urban air traffic (AAM) fiel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eemptive preven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AM. Method: A process for developing safety management technology applicable to AAM was proposed through analysis of helicopter data characteristics. Processes were designed for data collection and integration, real-time risk detection, predictive maintenance,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development. Result: Four key elements utilizing helicopter data were derived as a technical strategy for AAM safety management. Conclusion: These factor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tability and safety of AAM operations by detecting potential risks in urban environments in advance and providing effective maintenance and response measures. In particular, data-based predictive safety management measur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rban air traffic operations.


    연구목적: 도심항공교통(AAM) 분야에서 헬리콥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안전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한 기술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AAM 상용화에 필요한 선제적 예방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헬리콥터 데이터의 특성 분석을 통해 AAM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관리 기술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통합, 실시간 위험 감지, 예측 유지보수, 성과 평가 지표 개발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AAM 안전 관리를 위한 기술적 전략으로서 헬리콥터 데이터를 활용한 네 가지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러한 요소들은 도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효과적인 유지보수 및 대응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AAM 운영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예측적 안전 관리 방안이 도심항공교통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Prevention of Boom Failure Accidents in Concrete Pump Trucks

    콘크리트 펌프카 Booms 파단사고 예방

    Choonhwan Cho, Jonggook Choi

    조춘환ㆍ최종국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eventive measures for boom failure accidents in concrete pump trucks by enhancing design and manufacturing qualit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대 파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계 및 제작 단계에서의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현행 정기검사 기준을 개선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eventive measures for boom failure accidents in concrete pump trucks by enhancing design and manufacturing quality control and revising periodic inspection standards. Method: Recent mechanical failure accidents in concrete pump trucks were analyzed, focusing on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inspection criteria improvements. Finite element analysis (FEA) from prior studies was reviewed, highlighting the second boom as the most stress-prone component during operation. Result: FEA confirmed that the second boom experiences the highest fatigue stress, making it the most vulnerable. Increasing its material thickness and reinforcing it with steel plates during manufacturing is essential. Additional reinforcements are also recommended for equipment currently in use. Conclusion: Manufacturers should reinforce the second boom's upper section during production. Inspection costs should be adjusted, non-destructive testing mandated, and accountability measures for inspection agencies implemented to enhance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대 파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계 및 제작 단계에서의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현행 정기검사 기준을 개선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최근 1~2년 사이에 발생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기계적 결함 사고를 조사하고,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펌프카 장비의 검사 기준 및 조종원의 자격과 기능교육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붐대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와 유한요소 해석 자료를 재분석하였으며, 특히 2단 붐대가 타설 과정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아 파손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한요소 해석 결과, 펌프카는 타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피로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가장 취약한 부위는 2단 붐대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단 붐대는 제작 단계에서 부재 두께를 증가시키고, 상단부에 철판을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장비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철판 보강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펌프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사는 2단 붐대 상단부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방안을 설계와 제작 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정기검사 비용의 현실화와 비파괴 검사의 의무화를 제안하며, 사고 발생 시 검사 기관의 책임을 명확히 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Demolition Projects

    건축물 해체 공사 안전 관리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Hyun-Jong Shin, Ok-Nam Park

    신현종ㆍ박옥남

    Purpose: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demolition works and the associated risk of accidents, the government enacted the Building Management Act in …

    연구목적: 건축물 해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행 제도상에 미비점이 노출되어 이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건축물 해체 공사 감리제도를 …

    + READ MORE
    Purpose: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demolition works and the associated risk of accidents, the government enacted the Building Management Act in 2020. However, continuous collapse accidents indicate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safety regulations for demolition work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ssues in the current system for ensuring the safety of demolition works and to propose solutions for improvement. Method: The study examines the demolition supervision system and review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emolition works to analyze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the associated issues. Result: While the government swiftly introduced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demolition works, fundamental actions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accidents have been insufficient. The specific areas for system improvement are as follows: Introduction of clear regulations for demolition design and supervision duties,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assigning contractors and supervisors for demolition works, Implementation of a training system for demolition contractors. Conclusion: By addressing the identified problems within the demolition system, the efficiency of law enforcement can be improved, ensuring safer demolition practices and ultimately safeguarding public safety.


    연구목적: 건축물 해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행 제도상에 미비점이 노출되어 이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건축물 해체 공사 감리제도를 고찰하고 건축물 해체 관련 현행 관계 법령을 검토하여 안전사고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도개선의 구체적인 내용은 1) 건축물 해체 공사 안전 관리체계 개선의 방향성 2) 건축물 해체 공사 시공자의 업무 및 관리인 배치 기준 마련 3) 건축물 해체 공사 시공자의 교육제도 도입 등 3가지로 분석되었다. 결론: 건축물 해체 공사 제도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여 법 집행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건축물이 안전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하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Fall Protection in Precast Concrete(PC) Construction

    PC(Precast Concrete)공사의 추락재해 방지에 관한 연구

    Bong-Nam Yoon, Yong-Han Ju

    윤봉남ㆍ주용한

    Purpose: In the course of PC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disasters such as equipment overturning, collapse of PC structure, and falling of workers …

    연구목적: PC(Precast Concrete)공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장비전도, PC구조물 붕괴, 참여 근로자 추락 등의 재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세이며 이 중 인간생명 보호의 …

    + READ MORE
    Purpose: In the course of PC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disasters such as equipment overturning, collapse of PC structure, and falling of workers are occurring frequently, and we would like to study how to prevent falling disasters of workers to protect human life.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specific construction site to investigate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of PC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countermeasures taken by workers’ active measures. Result: By focusing on pure fall accident prevention, except for the type of structure collapse accident during construc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PC construction site, the researcher confirms that the research product has a great effect on fall prevention unlike existing product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facilities utilizing the safety railing of the research product will play a large role in preventing fall accidents of workers participating in PC construction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model of the fall prevention facility guideline (book) if it is established as a regulatory guideline for safety facilities for fall prevention of PC construction in the future.


    연구목적: PC(Precast Concrete)공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장비전도, PC구조물 붕괴, 참여 근로자 추락 등의 재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세이며 이 중 인간생명 보호의 근로자의 추락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실제 시공하는 특정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제로 PC공사의 근로자 추락재해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물 설치와 근로자의 적극적인 조치로 대책방안에 대해 알아볼 수가 있다. 연구결과: PC공사 현장 중심으로 진행되는 시공중의 구조물 붕괴사고 유형을 제외하고 순수한 추락사고 방지에 비중을 두어 현장 개선방안 실험을 통해 연구제품이 기존제품과 달리 추락방지에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다. 결론: 연구제품의 안전난간대를 활용한 안전시설을 통해 국내건설현장의 PC공사를 진행함에 참여 근로자의 추락사고 방지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리라 판단한다. 또한, 향후 PC공사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설비에 대해 규정지침으로 확립되면 추락방지시설 지침(서) 개선모델의 기본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raffic Volum Control Standards to Prevent Veehicle Isolation on Highways During Heavy Snowfall in the Yeongdong Region

    영동지역 폭설 시 고속도로 고립 사건 예방을 위한 교통량 통제 기준 연구

    Sang-Hoon Lee, Hong-Sik Yun, Seung-Jun Lee

    이상훈ㆍ윤홍식ㆍ이승준

    Purpose: Traffic isolation on highways caused by heavy snowfall results in significant damages and losses. To prevent this, traffic volume must be …

    연구목적: 폭설 시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의 고립은 많은 피해 및 손실을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국내·외에서는 신호제어, 램프미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교통량을 통제하는 …

    + READ MORE
    Purpose: Traffic isolation on highways caused by heavy snowfall results in significant damages and losses. To prevent this, traffic volume must be controlled in advanc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criteria for traffic volume control.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critical thresholds for traffic isolation by examining data recorded over the past 10 years during heavy snowfall events in the Yeongdong region where cumulative snowfall exceeded 30cm under heavy snow warnings. The data included zone-specific snowfall intensity, traffic volume, and travel speed recorded by the VDS(Vehicle Detection System) on highways. Resul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raffic congestion occurred when hourly snowfall exceeded 10cm or traffic volume exceeded 1,500 vehicles per hour. Furthermore, traffic isolation was observed when hourly traffic volume reached approximately 2,200 vehicles. Conclusion: When a heavy snow warning is issued, continuous monitoring of traffic volume through the VDS system is essential. If traffic volume exceeds 1,500 vehicles per hour and an increase is anticipated, proactive traffic volume control measures can effectively prevent traffic isolation.


    연구목적: 폭설 시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의 고립은 많은 피해 및 손실을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국내·외에서는 신호제어, 램프미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교통량을 통제하는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이 전략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교통량 통제의 기준이 먼저 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폭설에 취약한 국내 영동지역 고속도로 노선에 대하여 교통량 통제의 기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최근 10년간 강설량, 교통량, 통행속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폭설 시 교통 정체 및 고립이 발생하는 강설 및 교통량의 임계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폭설 시 시간당 강설량이 10cm 이상이 되거나 교통량이 1,500대 이상 일 때 교통 정체가 발생하였으며 교통량이 2,200대 이상 시 교통 고립이 발생하였다. 결론: 대설경보가 발효되면 VDS를 통해 교통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교통량이 1,500대가 이상 일 시 교통량의 증가가 예상된다면 선제적으로 교통량을 통제한다면 교통의 고립을 예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Risk Assessment of Firefighting Areas in PCTC Logistics Spaces Using EV FDS

    PCTC 물류공간 내 전기차 화재의 FDS를 통한 소화 대응공간 위험성평가 연구

    SuHaeng Lee, SeHong Min

    이수행ㆍ민세홍

    Purpose: As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continues to grow, the volume of automobile logistics has reached unprecedented levels. The global PCTC market, …

    연구목적: 전기차 산업이 발전하며 자동차 물동량이 전례 없는 성업을 이루고 있다. 자동차 물류산업의 핵심을 차지하는 전서계 PCTC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 READ MORE
    Purpose: As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continues to grow, the volume of automobile logistics has reached unprecedented levels. The global PCTC market, which plays a central role in the automobile logistics industry, is expected to see significant growth. However, the fire risk associated with EVs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emerging as a critical issue for safety in maritime transport. Method: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 for related studies, this research conducted a risk assessment of firefighting response spaces within PCTC logistics areas, using FDS simulations based on HRR data from full-scale fire tests of electric vehicles at 50% SOC. Result: The risk to firefighting teams equipped with suppression equipment in the vicinity of EV fires was evaluated in terms of visibility, temperature, and radiative heat flux. Scenarios were conducted under both ventilated and non-ventilated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computational risk assessment aimed at analyzing fir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ensuring the safety of firefighting responses in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 for electric vehicles.


    연구목적: 전기차 산업이 발전하며 자동차 물동량이 전례 없는 성업을 이루고 있다. 자동차 물류산업의 핵심을 차지하는 전서계 PCTC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전기차 화재 위험성은 더욱 주목되고 있으며 해상운송의 안전 문제에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방법: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OC 50% 전기차 실물화재 시험의 HRR 데이터를 이용하여 PCTC 물류공간 내 전기차 FDS를 통한 소화 대응공간의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기차 화재 주변공간에서 진압장비를 갖춘 소방대에 대한 위험성을 가시거리, 온도, 복사열유속으로 평가하였으며, 환기 및 미환기조건의 시나리오가 진행되었다. 결론: 전기차 해상운송 환경에서의 화재거동특성 분석과 소화대응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전산해석적 위험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Construction Vehicles using Sensor Based Smart System – Focusing on Dump Truck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을 통한 건설 차량 안전성 확보 방안 연구 – 덤프트럭 중심

    Jin-Woong Park, Ok-Nam Park

    박진웅ㆍ박옥남

    Purpose: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ensor-based smart system design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ssociated with dump truck. …

    연구목적: 덤프트럭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의 올바른 사용 방안을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덤프트럭을 대상으로 센서형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ensor-based smart system design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ssociated with dump truck. Method: This study targeted dump truck with high accident rates and significant risk levels to identify the blind spots of sensor-based smart system. Driver reaction times and stopping distanc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peed of the dump truck. Result: Blind spo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s of sensor-based smart system on dump truck. At low speeds (below 20 km/h), driver reaction times were consistent, and stability was achieved at a set distance of 20 meters, taking stopping distances into account.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er use of sensor-based smart system on dump truck alone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and preventing accidents.


    연구목적: 덤프트럭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의 올바른 사용 방안을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덤프트럭을 대상으로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덤프트럭의 속도에 따라 운전자의 반응시간 및 거리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 설치 위치에 따라 덤프트럭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덤프트럭의 속도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시간은 저속(20km이내)에서는 일정하고 멈춤 거리를 고려하여 20m의 설정거리에서 안정성이 확보되었다. 결론: 덤프트럭에 센서형 스마트 시스템의 올바른 사용만으로도 재해 감소 및 재해 예방에 실효성을 가질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in Korea Logistics Center

    국내 물류센터 산업재해 분석과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Mi-Hwa Jang, Won-Mo Gal

    장미화ㆍ갈원모

    Purpos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logistics centers, identify risk factors for each task that may …

    연구목적: 물류센터 산업재해 특성을 분석하고 작업 수행 시, 발생 될 수 있는 작업별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산업재해 이론의 재해 원인 구조와 비교 분석하여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in logistics centers, identify risk factors for each task that may occur during work,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accident causes in industrial accident theory, and suggest safety management measures. Method: This paper analyzed risk factors for each tas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gistics centers and conducted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Result: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fundamental causes are safety organization, safety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a safety culture, and the secondary indirect causes are risk assessment and regularization of safety inspection manuals for each task. Lastly, the primary direct cause is the systemization of the safety inspection manual, suggesting the routineization of safe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use of a smartphone app. Conclusion: In order to establish a logistics center safety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ctively utilize a smartphone app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logistics safety management system.


    연구목적: 물류센터 산업재해 특성을 분석하고 작업 수행 시, 발생 될 수 있는 작업별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산업재해 이론의 재해 원인 구조와 비교 분석하여 안전관리 대책 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물류센터 특성을 고려한 작업 별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개선방안은 안전 조직화, 안전교육, 안전 문화 정착이며, 2차적 간접적인 원인은 위험성평가, 작업별 안전점검 매뉴얼 상시화이다. 마지막으로 1차적 직접적인 원인은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화로 스마트폰앱 개발과 활용을 통한 안전의 일상화를 제시하였다. 결론: 물류센터 안전시스템의 정착화를 위해 스마트 물류안전관리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하여 스마트폰 앱 개발과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Disasters in Gangwon Province Using SSP 5-8.5 Climate Change Scenarios

    SSP 5-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강원지역의 토사재해유발 강우특성분석

    Byung Sik Kim, Dong Ho Kang, Byung Hyun Lee, Hyoung Kyu Lim

    김병식ㆍ강동호ㆍ이병현ㆍ임형규

    Purpose: Due to climate change, the amount and intensity of rainfall is increasing, and localized heavy rainfall in summer is causing damage …

    연구목적: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량과 강우강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하여 도시, 산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도 이러한 집중호우로 …

    + READ MORE
    Purpose: Due to climate change, the amount and intensity of rainfall is increasing, and localized heavy rainfall in summer is causing damage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cities and mountainous areas. Recently, landslides and debris flows have been occurring in mountainous areas due to such heavy rainfall, and research is needed to respond to landslide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that causes landslides using the SSP 5-8.5 climate change scenario presented in the IPCC 6th report by analyzing six rainfall extreme indices for 59 rainfall stations in Korea. Method: The risk of occurrence of rainfall that causes landslides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rainfall exceedances that cause landslides us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or the Gangwon-do region, which is mostly composed of mountainous areas. The future period was divided into Future 1 (2011~2040), Future 2 (2041~2017), and Future 3 (2071~2100). Result: The analysis of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that cause landslide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exceeding the threshold of heavy rainfall, especially among the six rainfall extreme indices, is increasing nationwide. In the future period in Gangwon-do, the number of rainfall exceedances that cause landslides is analyzed to increase at all seven stations, with Daegwallyeong, Chuncheon, and Hongcheon stations showing the largest increase in the number of rainfall exceedances that cause landslides. Conclus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sediment disaster preven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by analyzing the risk of sediment disaster occurrence by region through the collection of damage cases at the national level.


    연구목적: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량과 강우강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하여 도시, 산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도 이러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산지 지역에서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토사재해를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CC 6차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SSP 5-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국내 59개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6가지의 강우극한지수 분석을 통해 토사재해유발 강우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져있는 강원도 지역에 대하여 토사재해유발 강우량 관련 선행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미래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초과 발생횟수 분석을 통해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미래 기간은 Future 1(2011~2040), Future 2(2041~2017), Future 3(2071~2100)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토사재해유발 강우특성 분석결과 6개 강우극한지수 중 특히나 집중호우 한계점 이상 발생빈도는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원도 토사재해유발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활용하였을 때, 미래 기간에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을 초과하는 횟수는 강원도 내 7개 관측소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관령, 춘천, 홍천 지점에서 토사재해유발 강우량 초과 발생 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향후 전국단위의 피해사례 수집을 통하여 지역별 토사재해유발 강우량 산정 결과를 확대한다면, 토사재해 발생 위험성 분석을 통하여 위험 정도에 따른 토사재해 방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Preventing Fire Spread on Upper Floor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상층부 화재 확대 방지에 관한 연구

    Young-Hwa Lee, Ok-Nam Park

    이영화ㆍ박옥남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ire spreading to upper floors through windows due to balcony extensions in multi-famil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ire spreading to upper floors through windows due to balcony extensions in multi-family housing, which lead to a rapid increase i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dditionally, it seeks to secur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to promote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installing solar panels on railings, this study also examines potential issues and proposes measures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Method: Fire Dynamics Simulator (FDS) is utilized to propose a method for securing a fire prevention distance by installing solar panels. Result: The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fire hazards associated with installing solar panels on existing railings. As a countermeasure to prevent fire spread to upper floors, the study proposes securing a separation distanc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Conclusion: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not only prevents the vertical spread of fire but also provides a space for electricity gener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창문을 통하여 상층부로 화재가 확대되어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재해를 방지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설치 공간을 확보 함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난간에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층부의 화재 확대 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이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화재확대 방지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기존 난간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 방지대책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이격 거리를 확보했다. 결론: 태양광 패널 설치로 인해 상층부로의 화재 확대를 방지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Adaptability of Air Sampling Detector in Cold Storage

    냉장·냉동 창고 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작동 특성 분석 및 적응성 확보 방안 연구

    MinEon Ju, SeHong Min

    주민언ㆍ민세홍

    Purpose: Recently, cold storage have appeared in large and complex. At the same time, cold storage fires continue to occur every year. …

    연구목적: 최근 냉장·냉동 창고가 대형 및 복합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냉장·냉동 창고 화재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냉장·냉동 창고는 화재 확산 위험이 큰 …

    + READ MORE
    Purpose: Recently, cold storage have appeared in large and complex. At the same time, cold storage fires continue to occur every year. Cold storage are buildings with a high risk of fire diffusion, and early detection is required to minimize damage. However, due to the low-temperature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apply a detector, so it is defined as the subject of exclusion from the install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eld investigation of air sampling detectors, we intend to prepare a plan to secure the adaptability of detectors in low-temperature warehouses. Method: A scenario was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ir sampling detector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Three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Result: Fire recognition was insensitive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sagging phenomenon of the sampling pipe was noticeabl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densate was generate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he warehouse. Conclusion: A plan to secure adapt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air sampling detector was presented, such as setting alarm threshold values, countermeasures condensate and condensation.


    연구목적: 최근 냉장·냉동 창고가 대형 및 복합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냉장·냉동 창고 화재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냉장·냉동 창고는 화재 확산 위험이 큰 건축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감지가 요구된다. 하지만 저온 환경의 특성상 감지기 적용이 어려워, 설치 제외 대상으로 규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대상으로 성능평가 수행 및 현장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온 창고 내 감지기 적응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저온 환경 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작동 특성을 분석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3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내용과 실제 현장을 조사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온 환경에서 화재 인식이 둔감하며, 공기흡입관의 늘어짐 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또한 창고 내·외부 온도 차로 인해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저온 특성을 반영한 경보임계값 설정, 응축수 및 결로 대응 방안 등 냉장·냉동 창고 내 공기흡입형 감지기 적용을 위한 적응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AI-Based Fire Protection System Design Automation Technology using CNN

    CNN을 활용한 AI 기반 소방 설계 자동화 기술 연구

    Min Gyu Kim, Se Young Ko, Doo Chan Choi

    김민규ㆍ고세영ㆍ최두찬

    Purpose: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hrough automation of fire design technology and increase design accuracy through AI. Method: …

    연구목적: 소방 설계 기술의 자동화를 통해 소요 시간을 감축하고 AI를 이용해 설계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계 도면을 인공지능을 통해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hrough automation of fire design technology and increase design accuracy through AI. Metho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utomation of fire design i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design drawings through AI and processing them using CNN algorithms. Result: It showed a time reduction effect of at least 17% and at most 95%, and it was proven that it produced results that are suitable for the current laws. Conclusion: Addi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will be conducted on a law learning algorithm using NLP for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laws and application in overseas situations, and futu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add more functions for more complete results.


    연구목적: 소방 설계 기술의 자동화를 통해 소요 시간을 감축하고 AI를 이용해 설계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계 도면을 인공지능을 통해 학습하고, 이를 CNN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소방 설계의 자동화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적게는 17%, 많게는 95%의 시간 감축 효과를 보였으며, 현행 법령에 걸맞은 결과물을 도출함을 증명하였다. 결론: 법령의 변경 가능성과 해외 상황에서의 적용을 위해 NLP를 활용한 법령 학습 알고리즘을 추가 연구개발 진행하고,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더욱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 할 것이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The Impa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 (BCMS) of Financial Institutions on Disaster Saf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금융기관 사업연속성관리시스템(BCMS)이 재난안전인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Kwan-Su Jang, Sung-Eun Kim, Jin-Kyu Kim, Joon-Won Lee

    장관수ㆍ김성은ㆍ김진규ㆍ이준원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 (BCM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금융기관의 사업연속성관리시스템(BCMS)과 재난안전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이를 통해 BCMS와 재난안전인식이 조직몰입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였다.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 (BCM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inancial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dentifies whether BCM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function as key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of financial institutions to measure BCMS, disaster safety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ith SPSS and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path analysis were appli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using statistical. Result: The components of BCMS (organizational status, leadership, support, ope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operation showing the greatest influence. Additionally, the BCMS component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safety awareness, with leadership and performance evaluation having relatively greater effects. Disaster safety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C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firming its role in enhancing the impact of BCM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BCM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inancial institutions. Notably, the operational framework and leadership capacity of BCMS were identified as critical factors for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Therefore,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BCMS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disaster safety awarenes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금융기관의 사업연속성관리시스템(BCMS)과 재난안전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이를 통해 BCMS와 재난안전인식이 조직몰입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CMS, 재난안전인식, 조직몰입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AMOS를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경로분석을 포함한 통계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BCMS의 구성 요소(조직현황, 리더십, 지원, 운영, 성과평가)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운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BCMS 구성 요소들은 재난안전인식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십과 성과평가가 재난안전인식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재난안전인식은 BCMS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BCMS와 재난안전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BCMS와 재난안전인식이 금융기관의 조직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BCMS의 운영 체계와 리더십 역량이 조직몰입과 재난안전인식에 핵심적이라는 점에서, 금융기관은 BCMS 구축과 함께 직원들의 재난안전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Changes in Exhaust Rate According to Exhaust Window Arrangement

    배연창 배치에 따른 배기성능 변화에 대한 연구

    Woon-Yong Hwang

    황운용

    Purpose: Smoke exhaust windows are often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relative laws. The smoke exhaust window is a natural exhaust system, and …

    연구목적: 배연창은 관련규정으로 인하여 많이 설치되고 있다. 배연창은 자연배기 방식으로 배연창의 배기성능은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관련규정에서 배연창의 면적만을 명시하고 있어 배치위치에 대한 …

    + READ MORE
    Purpose: Smoke exhaust windows are often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relative laws. The smoke exhaust window is a natural exhaust system, and its exhaust rate is affected by the wind. Since the relative laws only specify the area of ​​the smoke exhaust window, problems arise regarding its placement. Therefore, the exhaust rat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moke exhaust window was confirmed.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xhaust rate by the arrangement of the smoke exhaust windows, the arrangement of the smoke exhaust windows was varied while keeping the area of ​​the total smoke exhaust window the same. The wind direction was kept constant with smoke exhaust windows placed on the one, two, three, and four sides of the building. The change in exhaust rate of the smoke exhaust window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was simulated through changes in wind speed. Result: In the case of a one-sided arrangement, when the smoke exhaust window faces the wind, the exhaust rate reduced by up to 60% compared to no wind at the maximum wind speed in the area. In the case of two-sided arrangement, if the smoke exhaust windows are not facing each other, the exhaust rate was shown to be reduced by up to 21% compared to windless conditions. In the case of a three-sided arrangement, the change in exhaust rate due to wind speed change was small, and in the case of four sided arrangement, the exhaust rate also improved as the wind speed increased. Conclusion: The outside wind affected the exhaust rate of the smoke exhaust window. Additionally, wind direction and speed are constantly changing. Therefore, when placing smoke exhaust windows, it is recommended to avoid placing them on just one side and, if possible, place them on three or more sides. When the smoke exhaust windows are placed on only two sides, they should be placed on opposite sides to ensure smoke exhaust rate through the smoke exhaust windows and achieve the purpose of placing the smoke exhaust windows.


    연구목적: 배연창은 관련규정으로 인하여 많이 설치되고 있다. 배연창은 자연배기 방식으로 배연창의 배기성능은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관련규정에서 배연창의 면적만을 명시하고 있어 배치위치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연창에 대해 배치에 따른 배기성능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배연창의 배치에 의한 배기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배연창의 면적을 동일하게 하는 조건에서 배연창의 배치를 다르게 하였다. 배연창이 건축물의 1면에만 배치되는 경우와 2면, 3면 4면에 배치되게 한 상태에서 풍향을 일정하게 하고 풍속의 변화를 통해 외기조건에 따라 배연창의 배기성능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결과: 배연창이 1면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과 배연창의 배치에 따라 맞바람을 받는 경우 해당지역 최대 풍속에서 무풍대비 배기성능은 60%까지 떨어졌다. 2면 설치의 경우도 배연창이 마주보는 경우가 아닌 경우 무풍조건에 비해 배기성능이 21%까지 낮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면 설치의 경우 풍속변화에 의한 배기성능의 변화가 적었으며 4면 설치의 경우 풍속의 증강에 따라 배기성능도 좋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배기성능과는 별개로 내부 부속실의 차압변화는 최대 6.4Pa로 나타나 배연창의 배기성능의 변화가 제연설비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배연창의 배기성능에 외풍이 영향을 주었다. 또한 풍향 및 풍속은 지속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배연창의 배치에 있어 가급적 1면만 설치되는 것은 피하고 가급적 3면 이상 배치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득이하게 배연창을 2면만 배치하는 경우 마주보는 면에 설치하여 배연창으로 인한 배연성능이 확보되도록 하여 배연창의 설치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afety Educ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Z세대의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의 방향성 연구

    Geon-Ho Lee, Ok-Nam Park

    이건호ㆍ박옥남

    Purpose: The purpose is to find that the proportion of victims in Generation Z is high in the event of a major …

    연구목적: 대형 사회재난 발생 시 Z세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점을 발견하고,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교육 진흥에도 불구하고 Z세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이유에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is to find that the proportion of victims in Generation Z is high in the event of a major social disaster, analyze why the proportion of victims in Generation Z is high despite the promotion of safety education after the Sewol tragedy, and find a direction for safety education suitable for Generation Z based on this. Method: It analyzes various papers and data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checks the actual status of Generation Z's safety education to identify the weaknesses of Generation Z's safety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Generation Z is a generation that values experience and values, and these characteristics act as a factor that hinders practicality and continuity in terms of safety educ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motivates generation Z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to prepare an educational plan for all generations Z to receive safety education by expanding safety education for each life cycle.


    연구목적: 대형 사회재난 발생 시 Z세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점을 발견하고,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교육 진흥에도 불구하고 Z세대 피해자의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Z세대에게 효율적인 안전교육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각종 논문과 자료를 분석하여 Z세대의 특성에 관해 연구하고, Z세대의 안전교육 실태를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Z세대 안전교육의 취약점을 확인한다. 연구결과: Z세대는 경험과 가치를 중시하는 세대이며, 이런 특성이 안전교육의 측면에는 실용성과 지속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결론: Z세대의 특성에 맞는 동기유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생애 주기별 안전교육을 확장하여 모든 Z세대가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afety Vulnerable Populations Using 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안전취약계층 연구동향 분석

    Chang-min Gu

    구창민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vulnerable groups in terms of safety over the past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안전취약계층과 관련된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다각도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vulnerable groups in terms of safety over the past decade and to provide a variety of evidence to ensure their safety. Method: This study utilizes text mining to conduct a time series analysis of papers related to vulnerable groups in terms of safety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key keywords and topics. Result: Research on vulnerable groups in safety primarily appears in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journals. The main keyword is ‘elderly,’ with topics focusing on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and ‘childr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spatial studies on vulnerable groups are also actively explored. Conclusion: In research on safety-vulnerable populations, identifying the types of disasters, the scope of vulnerable group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opics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as well as strengthen the social safety net.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promote diverse research perspectives on groups that have been inadequately addressed in existing studies, such as foreigners, pregnant women, and infa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안전취약계층과 관련된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다각도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안전취약계층과 관련된 논문의 시계열 분석, 핵심 키워드와 토픽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연구결과: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연구는 재난·방재·위기관리 분야의 학술지 비율이 높았다. 안전취약계층과 관련한 핵심 키워드는 ‘노인’으로 나타났으며, 토픽 주제는 ‘장애인’, ‘노인’, ‘아동’에 집중되고 있다. 또한 지방정부의 역할과 중요성, 안전취약계층의 공간적 연구가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전취약계층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논의된 재난의 유형, 취약계층의 범위, 토픽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재난관리와 대응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룬 외국인, 임산부, 영유아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Normative Challenges in Addressing Climate-Induced Maritime Distress and Search-and-Rescue Operations within Exclusive Economic Zones (EEZs)

    기후변화로 인한 해상 조난 증가와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의 인명구조를 위한 규범적 과제 연구

    Yu-Lee Shin, Hye-Jin Song

    신유리ㆍ송혜진

    Purpose: As climate change intensifies, extreme weather events and rising sea level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ccurrence of maritime distress incidents. These …

    연구목적: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기상 현상과 해수면 상승이 증가하면서 해상 조난 사건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 과제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더욱 심화되며, …

    + READ MORE
    Purpose: As climate change intensifies, extreme weather events and rising sea level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ccurrence of maritime distress incidents. These challenges are particularly acute within Exclusive Economic Zones (EEZs), where jurisdictional complexity intersects with international legal obligat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egal and normative issues arising from maritime distres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explore regulatory and cooperative frameworks to enhance rescue operations within EEZs. Method: The study employs a legal and policy analysis approach, reviewing international maritime regulations, legal precedents, and existing cooperative mechanisms related to search and rescue (SAR) operations in EEZs. It also incorporates case studies of maritime distress incident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to identify practical challenges and policy gaps. Result: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international conventions such as UNCLOS and the SAR Convention provide a framework for maritime rescue, jurisdictional disputes and lack of clear procedural coordination often hinder timely and effective SAR operations in EEZ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learer regulatory guidance and enhanced multinational cooperation to address these gaps. Conclusion: To improve maritime SAR operations within EEZs, it is essential to develop more precise regulatory frameworks, establish coordinated multinational rescue mechanisms, and strengthen diplomatic engagement among coastal states. A balanced approach that respects both state sovereignty and humanitarian rescue obligations is necessary to enhance SAR efficiency in climate-induced maritime distress scenarios.


    연구목적: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기상 현상과 해수면 상승이 증가하면서 해상 조난 사건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 과제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더욱 심화되며, 관할권의 복잡성과 국제법적 의무가 교차하는 특수한 공간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해상 조난이 야기하는 법적 및 규범적 문제를 검토하고, EEZ 내 구조 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규제 및 협력적 프레임워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해양 구조(Search and Rescue, SAR)와 관련된 국제 해양 규정, 법적 판례, 협력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법·정책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악화된 해상 조난 사례를 조사하여 구조 활동의 실질적 과제와 정책적 공백을 식별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UNCLOS 및 SAR 협약과 같은 국제 협약이 해상 구조를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명확한 규제 지침과 다국적 협력 강화를 통한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결론: EEZ 내 해상 구조 활동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다국적 구조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안국 간의 외교적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주권 존중과 인도적 구조 의무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SAR 활동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Construction Worker Safety and Health Status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Research

    건설근로자 안전보건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Jonggook Choi

    최종국

    Purpose: As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a higher accident rate than in other industries, we intend to analyze the current …

    연구목적: 건설업에서의 재해는 타 산업분야 보다 높은 재해율을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에 취업하는 근로자에 대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보건교육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

    + READ MORE
    Purpose: As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a higher accident rate than in other industries, we inte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workers employ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prevent accident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Method: We conducted a study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identify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through a survey of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construction workers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H Construction’s nationwide sites and interviews with workers in related industries, and by referencing the latest prior papers and research reports. Result: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including construction workers, is not responding properly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hat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payment of training costs for workers, and daily wages continue to arise. In addition,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deterioration of training companies, and there is no follow-up system for implementing refresher training after new training, resulting in insufficient opportunities for train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d alternatives for national policy processes and systems to prevent accidents among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연구목적: 건설업에서의 재해는 타 산업분야 보다 높은 재해율을 나타남에 따라 건설업에 취업하는 근로자에 대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보건교육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H건설의 전국현장을 대상으로 현행 실시하고 있는 건설업 취업 근로자의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설문조사, 관련업종 종사자의 인터뷰를 통한 교육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향을 확인하고, 최신 선행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건설업 취업 근로자를 포함하여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에 있어 시대적 변화에 재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재개발, 근로자의 교육비용 지불, 일당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교육업체의 부실화 논란, 신규교육 후 보수교육 등 실시에 대한 후속적인 제도마련 되지 않아 교육의 기회가 미흡하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설업 취업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국가적 정책과정과 제도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Rental Cars Crashes in Tourist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관광지역 렌터카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Byoung-Jo Yoon, Sun-min Lee, Hyung-Geun Park

    윤병조ㆍ이선민ㆍ박형근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rental car crash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er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렌터카 이용률이 높은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렌터카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사고감소를 위한 체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rental car crash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ere the rental car usage rate is high, and propose systematic measures to reduce crash severity. To achieve this, a crash severity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Method: Data on rental car crash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2018 to 2022 were analyzed using XGBoost,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models. Random Forest was identified as the optimal model, and SHAP analysis was employed to derive the feature importance of variables. Result: The Random Forest model demonstrated the highest performance. The feature importa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rash severity were crash type, with “vehicle-pedestrian collisions”(0.2132169) and “vehicle-to-vehicle collisions”(0.150534) having the highest impact. Among traffic violations, “failure to drive safely”(0.145027) and “center line violations”(0.097202) were identified as critical factors. Additionally, the “intersection” road type (0.049608) was a significant factor.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ainy weather, nighttime, specific days(Sunday and Thursday), and seasons (autumn and summer) also increased crash severity. Conclusion: To reduce rental car crash severity, implementing a tailored vehicle rental system, expanding traffic safety infrastructure, and strengthening measures to prevent traffic violations are essential.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analysis scop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to derive actionable and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렌터카 이용률이 높은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렌터카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사고감소를 위한 체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사고심각도 분석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제주특별자치도 렌터카 교통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XGBoost, Decision Tree, Random Forest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적의 모델로 Random Forest를 선정하고, SHAP 분석을 통해 변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랜덤 포레스트 모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변수 중요도 분석 결과, 사고심각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고유형이 ‘차대 보행자’(0.2132169), ‘차대 차’(0.150534) 사고인 경우로 나타났다. 법규 위반 중 ‘안전운전 불이행’(0.145027), ‘중앙선 침범’(0.097202), 도로 형태 ‘교차로’(0.049608)인 경우에도 높은 변수 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기상 상태_비, 야간, 특정요일(일요일, 목요일), 계절(가을, 여름)에 사고심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렌터카 사고감소를 위해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 교통안전 시설물 확충, 법규 위반 예방조치를 강화해야 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분석 범위를 확대하고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Development of a Flood Damage Prediction System Using GIS and AI

    GIS 및 AI를 이용한 침수 피해 예측 시스템 개발

    Sungho Cho, Sung Jae Kim

    조성호ㆍ김성재

    Purpose: Recent advances in GIS and AI technologies are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e …

    연구목적: 최근 지리정보시스템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재난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AI는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하여 …

    + READ MORE
    Purpose: Recent advances in GIS and AI technologies are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system for flooded areas using AI and GIS technologies. Method: Real-time data collection uses various APIs, and AI model linkage adopts the message queue method. The display speed test was performed through index creation and n field settings, and the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Eclipse 4.18.0, JAVA 1.8.0_031, MAVEN, Apache Tomcat 9.0, PostgreSQL 13.16, and GeoServer. Result: Real-time weather data was collected and integrated into a GIS database. The system was linked with an AI model for flood damage prediction.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visualization speed of large-scale real-time data, and the GIS system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urban and river areas. Conclusion: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system capable of predicting flood damage in real time and visualizing the results efficiently. The system supports effective decision-making for flood response personnel by providing timely and accurate information.


    연구목적: 최근 지리정보시스템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재난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AI는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탁월하며, GIS는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 상황을 시각화하여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침수 지역에 대한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침수 피해 예측을 위하여 실시간 자료수집은 다양한 API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존 침수 피해지 예측 관련 LSTM 모델과의 연계는 메시지 큐 방식을 채택하였다. 인덱스 생성 및 n 필드 설정을 통하여 표출 속도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시스템 개발은 Eclipse 4.18.0, JAVA 1.8.0_031, MAVEN, 서버 환경은 Apache Tomcat 9.0 데이터베이스는 PostgreSQL 13.16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GIS 엔진으로는 GeoServer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기상 자료수집하고 이를 GIS DB로 구축하였으며 침수 피해 예측 AI 모델과의 연계를 수행하였다. 대량의 실시간 데이터의 표출 속도 테스트 분석 및 도시와 하천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GIS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침수 피해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을 통하여 침수 관련 담당자들의 업무에 있어 효율적인 의사결정 정보를 지원할 수 있게 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mpact of Spatial Resolution of Topographic Data on Analysis of Inundated Areas in an Urban Stream: Focused on the Geum-Hak Cheon Area

    지형자료 공간 해상도가 도시하천 침수면적 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금학천을 중심으로

    Sung Hun Kim, Sung Jae Kim, Jongpil Kim

    김성훈ㆍ김성재ㆍ김종필

    Purpose: With increasing flood damage from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drone-based high-resolution terrain models are crucial for urban flood prediction. This study …

    연구목적: 이상기후와 도시화로 인한 침수 피해 증가에 따라 드론 기반 고해상도 지형 모델이 홍수 예측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용인 …

    + READ MORE
    Purpose: With increasing flood damage from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drone-based high-resolution terrain models are crucial for urban flood prediction. This study builds a 0.1m-resolution DSM of Geum-Hak stream, Yongin, analyzing the impact of spatial resolution on flood patterns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and applications. Method: Using drones and advanced technologies, high-resolution DSMs and orthophotos were created for the Geum-Hak cheon area. Various DSM resolutions were generated to analyze flood damage, applying aerial photogrammetry, GCP setting, 3D modeling, and resampling techniques for accurate terrain data. Result: The analysis of inundated area changes based on the rise in river water level, using DSMs with seven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revealed that as the resolution decreased, the differences in the flooded area increase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when selecting spatial resolution for flood analysis, a balance between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error rat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determine the optimal resolution.


    연구목적: 이상기후와 도시화로 인한 침수 피해 증가에 따라 드론 기반 고해상도 지형 모델이 홍수 예측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용인 금학천에서 0.1m급 DSM을 구축하여 공간 해상도가 침수 범위와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예측 정확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드론과 첨단 기술을 활용해 금학천의 고해상도 DSM과 정사영상을 구축하고, 다양한 해상도의 DSM을 생성해 침수 범위를 정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측량, 지상기준점 설정, 3D 모델링을 적용하고 리샘플링 기법으로 다중 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7단계 공간 해상도의 DSM을 기반으로 하천 수위 상승에 따른 침수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침수면적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침수 해석에서 공간 해상도 선택 시 계산 효율성과 오차율 간의 균형을 고려해 최적의 해상도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andatory Membership in the Security Mutual Aid Association

    경비공제조합 의무가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JaeMin Lee, EunIl Song

    이재민ㆍ송은일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for mandatory membership in the Security Insurance Association to reduce liability gaps for security companies and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비공제조합의 의무가입 필요성을 검토하고, 경비업체와 경비원의 손해배상 책임 공백을 최소화할 방법을 모색한다. 현행 경비업법과 최근 발의된 법안을 분석하여, 공제조합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for mandatory membership in the Security Insurance Association to reduce liability gaps for security companies and guards, proposing solutions for enhancing the stability of private security and public safety. Method: The study analyzes cases of damage compensation by security companies and guards and identifies the legal basis and issues surrounding mandatory membership in the Security Insurance Association. Additionally,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bills related to the Security Insurance Association proposed in the 21st and 22nd National Assemblies to derive key issu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Result: While the current Security Industry Act regulates liability for damages, many cases still fail to provide sufficient compensation due to various limitations. The bills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emphasize the necessity of mandatory membership and offer specific solutions, but they have not yet been enacted into law. Conclusion: Mandatory membership is crucial for improving the security industry’s credibility and ensuring faster compensation. A legal framework for such membership is 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비공제조합의 의무가입 필요성을 검토하고, 경비업체와 경비원의 손해배상 책임 공백을 최소화할 방법을 모색한다. 현행 경비업법과 최근 발의된 법안을 분석하여, 공제조합 의무가입이 민간 경비업의 안정성과 국민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경비업체와 경비원의 손해배상 사례를 분석하고, 경비공제조합 의무가입의 법적 근거와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21대 및 22대 국회에서 발의된 경비공제조합 관련 법안을 비교·분석하여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현재 경비업법은 손해배상 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나, 다양한 한계로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국회에서 발의된 법안들은 의무가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아직 입법화되지 않았다. 결론: 경비공제조합 의무가입은 경비업의 신뢰성과 국민 피해 구제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법안 분석을 통해 의무가입이 경비업체의 재정적 안정성을 높이고 피해 보상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Adaptability of Sprinkler Systems in Frozen Warehouses

    냉장·냉동 창고 내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특성 및 적응성 분석에 관한 연구

    JongGyu Lee, SeHong Min

    이종규ㆍ민세홍

    Purpose: Fires in refrigerated and frozen warehouses occur consistently every year, yet sprinkler heads are excluded from installation requirements due to the …

    연구목적: 냉장·냉동 창고에서의 화재는 매년 지속 발생하며, 동결 위험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 제외 대상으로 규정되어 화재 대응에 취약점을 안고 있다. 본 …

    + READ MORE
    Purpose: Fires in refrigerated and frozen warehouses occur consistently every year, yet sprinkler heads are excluded from installation requirements due to the risk of freezing, creating vulnerabilities in fire response capabilitie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fire safety of refrigerated and frozen warehouses by selecting sprinkler systems as the primary fire response facility and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to strengthen fire prevention and suppression capabilities. Method: Considering the uniqu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refrigerated and frozen warehouses, three scenarios were developed and tested. Result: It was observed that if firefighting water is not discharged within 15 minutes, freezing could impair the system's performance. Condensation and moisture accu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at pipe penetrations and inside clappers. Quick-response (QR) sprinkler heads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early fire suppression compared to standard-response (SR) heads. Conclusion: To enhance the fire safety of refrigerated and frozen warehouses,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double-interlock sprinkler systems, the use of segmented piping to mitigate freezing risks, and the adoption of quick-response sprinkler heads as practical performance improvement measures.


    연구목적: 냉장·냉동 창고에서의 화재는 매년 지속 발생하며, 동결 위험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 제외 대상으로 규정되어 화재 대응에 취약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냉장·냉동 창고의 화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클러 설비를 주요 화재 대응 시설로 선정하고, 설비의 성능을 평가하여 화재 예방 및 진압 능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냉장·냉동 창고의 특수 환경을 고려하여 세 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배관 내 소화수가 15분 이내에 방출되지 않을 경우, 동결로 인해 설비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배관 관통부와 클래퍼 내부에서 결빙 및 응축수가 발생함이 관찰되었다. 조기반응형 헤드는 표준형 헤드보다 화재 초기 대응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결론: 냉장·냉동 창고의 화재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저온 특성을 반영한 더블 인터락 스프링클러 설비, 분리형 배관 사용, 조기반응형 헤드의 도입 등 성능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Criteria by Analysis of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Report and Actual Measurement Results

    지하안전평가서와 실제 계측결과 분석을 통한 평가기준 적정성 검토

    Ji-Yeol Choi

    최지열

    Purpose: In this study, the adequacy of evaluation criteria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report and actual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평가서와 실제 계측결과를 분석을 통하여 평가기준성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 지하안전평가 대상구역의 대표단면[A-A단면]을 설정하고 수평변위 및 버팀보 응력 예측값 및 …

    + READ MORE
    Purpose: In this study, the adequacy of evaluation criteria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report and actual measurement results. Method: The representative section (A-A section) of the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target area was set,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support stress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data. Result: In the case of horizontal displacement, the left side of (A-A) was predicted to be 4.87mm and the right side to be 5.30mm, but the measured values were 7.55 and 8.05mm, respectively, showing a slight difference (2.25 and 3.18mm), and the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were 19.4 to 23.4% of the primary standard management standard. This is judged to have secured considerable stability, and in the case of support stress, the compressive stress was predicted to be 102.55 to 141.63 MPa depending on the applied sizes, but in reality, about 50~70% of the predicted value (management standard value) occurred.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consultation must be followed when implementing the excavation work, and even in excavation projects that are not subject to excavation depth of less than 10m, safety accidents caused by excav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applying the underground safety evaluation as much as possible.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평가서와 실제 계측결과를 분석을 통하여 평가기준성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 지하안전평가 대상구역의 대표단면[A-A단면]을 설정하고 수평변위 및 버팀보 응력 예측값 및 실측데이터를 통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평변위의 경우 [A-A단면] 좌측은 4.87mm, 우측은 5.30mm로 예측되었으나 계측값은 각각 7.55, 8.05mm로 미소한 차이(2.25, 3.18mm)를 보였으며, 예측값과 계측값은 1차기준 관리기준값의 19.4~23.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히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고, 버팀보 응력의 경우 적용 제원에 따라 압축응력이 102.55~141.63MPa로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예측값(관리기준값)의 약 50~70% 수준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흙막이 굴착공사 시행 시 지하안전평가 협의 내용을 반드시 준수하여 시공에 임해야 하며, 굴착 심도 10m 미만의 대상 사업이 아닌 굴착 사업의 경우에도 가급적 지하안전평가 내용을 최대한 준용하여 굴착으로 인한 지반 함몰 및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March 2025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Shape Management of Steel Tower Cable Bridge with Sm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소블럭 가설공법이 적용된 해상교량 강주탑 사장교 형상관리에 관한 연구

    Byoung-Jo Yoon, Sang-Hun Kang, Sam-Gon Hong

    윤병조ㆍ강상훈ㆍ홍삼곤

    Purpose: The steel tower of the main bridge in Section 2 of the 3rd connecting Bridge is the tallest and most slender …

    연구목적: 제3연륙교 2공구 주교량 강재 주탑은 국내에서 가장 높고 세장하므로 가설 단계별로 동적풍하중에 의한 진동 안전성을 검토하고 매 단계마다 형상관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

    + READ MORE
    Purpose: The steel tower of the main bridge in Section 2 of the 3rd connecting Bridge is the tallest and most slender in Korea. Thus, the vibration stability under dynamic wind loads was evaluated at each construction stage, and geometry control was conducted at every step. Method: Vortex-induced vibrations tend to occur at low wind speeds, which can reduce welding workability between steel tower blocks and cause fatigue damage. To address this, eigenvalue analysis and the calculation of resonance wind speeds were performed for each construction stage to assess the potential for harmful vibrations during construction. During construction, geometry control involves evaluating construction errors from GPS survey results, excluding environmental variables, to determine the adjustment gap between connections when assembling tower leg blocks. Result and Conclusion: The potential for harmful vibrations caused by vortex-induced vibrations was predicted, and real-time monitoring with accelerometer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continuing work. The safety under static and dynamic loads was verified for each construction stage. Geometry control was carried out through procedures involving surveying, data analysis, and error adjustments for each construction stage,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within the allowable construction tolerance.


    연구목적: 제3연륙교 2공구 주교량 강재 주탑은 국내에서 가장 높고 세장하므로 가설 단계별로 동적풍하중에 의한 진동 안전성을 검토하고 매 단계마다 형상관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와류진동은 저풍속대 발생하는 특성이 있어 강주탑 용접 연결 시 작업성 저하와 피로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각각의 시공단계에 대한 고유치 해석 및 공진풍속을 산정하여 작업 중 유해진동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시공중 형상관리는 GPS 측량 결과에서 환경변수를 제외한 시공오차를 평가하여 주탑 레그 블록 시공시 연결부 간격 및 조정여부를 결정한다. 연구결과 및 결론: 시공 단계 중 와류진동에 의한 유해진동 발생 여부를 예상하였고 가속도계로 실시간 계측을 통해 작업 가능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관리를 수행하였다. 시공 단계별로 정적하중과 동적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시공단계별 측량, 계측데이터 분석, 오차조정의 절차로 형상관리를 수행하였고 가설허용오차 이내로 시공이 완료되었다.

    - COLLAPSE
    31 March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