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Effect of Safety Inspection System on Accident Reduction

    안전검사제도가 재해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Young Min Park, Jin Eog Kim

    박영민ㆍ김진억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ate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facilitie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before and after …

    연구목적: 안전검사 대상설비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비율을 안전검사 제도 시행 전·후로 분석하여 안전검사제도가 재해 예방에 있어 효과적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2006~2022년까지 안전검사 …

    + READ MORE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ate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facilitie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to analyze whether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is effective in preventing disasters.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facilitie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from 2006~2022, the accident statistics data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ere reclassified and analyzed as follows. Result: As a result of re-validating the statistic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through the Walcoxon Code Ranking Test, the average rank (negative rank) was 8.10 for those whose scores decreased from the pre-introduction scores, and the average rank (positive rank) for those whose post-introduction scores increased from the pre-introduction scores was 3.33. This indicated that there were more cases of reduced disasters after the introduction than before the introduction. Conclusion: The average rate of fatal accidents occurred in the facilities inspected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was about 14.05%, and the average rate of fatal accid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spection system was about 10.72%, which showed that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is effective in preventing work-related accidents and fatalities.


    연구목적: 안전검사 대상설비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비율을 안전검사 제도 시행 전·후로 분석하여 안전검사제도가 재해 예방에 있어 효과적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2006~2022년까지 안전검사 대상설비에서 발생한 중대 산업재해 분석을 위해 고용노동부 재해 통계 자료를 안전검사 대상설비만을 재범주화 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검사 제도 시행 전과 시행 후의 통계를 월콕슨 부호순위검정을 통해 재검증한 결과 도입 후 점수가 도입 전 점수보다 감소한 경우의 평균 순위(음의 순위)는 8.10, 도입 후 점수가 도입 전 점수보다 증가한 경우의 평균 순위(양의 순위)는 3.33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입 후에 도입 전보다 재해가 감소한 사례가 더 많음을 나타냈다. 결론: 안전검사 제도 시행 전 검사 대상 설비에서 발생한 사망재해자 평균 비율은 약 14.05%이고 검사제도가 시행된 이후 사망재해자 평균 비율이 약 10.72%로 사망 재해 평균 비율이 약 3.33% 감소하였으므로 안전검사제도가 업무상 사고사망 재해 예방에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Research on Road Safety Analysis Program Utilizing MMS Collected Data on Digital Twin

    디지털트윈 기반의 MMS 수집데이터를 활용한 도로 안전 분석 프로그램 연구

    Min Ho Son, Il Ryong Kweon

    손민호ㆍ권일룡

    Purpose: The current road safety diagnostic methods rely on visual inspections based on 2D drawings or field surveys, leading to subjective errors …

    연구목적: 현재 도로 안전진단 기법은 2D 도면을 기반으로 한 육안 점검 또는 현장 측량을 통한 확인과 분석으로 수치화되지 못한 주관적 오류와 현장 …

    + READ MORE
    Purpose: The current road safety diagnostic methods rely on visual inspections based on 2D drawings or field surveys, leading to subjective errors that cannot be quantified, as well as unreasonable factors such as time consumption and road closures due to field surveys. To address these issues, there is a need for practical technologies for highway maintenance and safety diagnostics, including the creation of precise road maps using MMS (Mobile Mapping System) large-scale point cloud data, and digitaltwin-based precise geometric analysis and simulations of highways. Method: We developed a technology for quickly processing high-precision MMS data and software based on digital twin for effective geometric structure analysis. Through this, we developed functions for road safety diagnostics, such as pavement grid longitudinal analysis, slope direction analysis, stormwater flow simulation, superelevation, curvature of curved sections, longitudinal slope, and sight distance analysis, and verified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areas of interest. Result: The causes of accidents that were difficult to diagnose through the views of existing experts and visual inspection have been more clearly identified. In particular, it has been possi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occurring during rainy weather (poor drainage, water pooling, defective drainage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s of superelevation, and the condition of pavement damage. By comparing the presented analysis results with the actual field conditions, the validity of the diagnostic results has been confirmed. Conclusion: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road services by implementing an intelligent disaster management and alert system, which can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respond to climate change, earthquakes, floods, large-scale wildfires, and other disasters in the vicinity of roads, ensuring a convenient and safe road environment.


    연구목적: 현재 도로 안전진단 기법은 2D 도면을 기반으로 한 육안 점검 또는 현장 측량을 통한 확인과 분석으로 수치화되지 못한 주관적 오류와 현장 측량에 따른 시간소요 및 도로통제 등의 불합리한 요소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위해 MMS 대용량 점군 데이터를 통한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하고, 디지털트윈 기반의 고속도로 정밀 기하구조 분석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고속도로 유지관리와 안전진단에 필요한 실용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방법: 고정밀 MMS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기술과 효과적인 기하구조 분석을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 안전진단을 위한 노면 그리드 종단 분석, 경사 방향 분석, 우수 흐름 시뮬레이션, 편 경사, 회전구간 곡률, 종단 경사도시거 분석 기능을 개발하였으며, 관심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전문가의 견해 및 육안으로 진단하기 어려웠던 사고원인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특히, 우천 시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원인(배수불량, 물 고임, 배수시설 불량), 편 경사의 특성, 포장 파손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제시된 분석 결과를 실제 현장 상태와 비교하면서, 진단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기후변화 및 도로 주변 지진, 침수, 대형 산불 등에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로 재난 관리 및 경보 체계와 지능화 기반의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 환경을 제공하여 도로 서비스 수준을 향상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Building Flood Damage Using HEC-RAS2D and GIS

    HEC-RAS2D 와 GIS를 활용한 건물 침수피해 분석

    Da Hee Kim, Min Kyung Cho, Hong Sic Yun, Se Yun Lee

    김다희ㆍ조민경ㆍ윤홍식ㆍ이세윤

    Purpos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irect damage to buildings caused by floods, which constitute the largest share of damag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액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홍수로 인한 피해액 중 건물의 직접 피해액을 HEC-RAS와 GIS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irect damage to buildings caused by floods, which constitute the largest share of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in South Korea. The evaluation employs HEC-RAS and GIS to develop a risk analysis model that contributes to the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 Scenarios were established based on river basic plans, and flood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HEC-RAS 2D to visualize inundation depth and area. This data was used to create flood risk maps. Furthermore, building types, heights, and individual land value data were overlaid with the K-FRM model to predict direct flood damage. GIS integration enabled the incorporation and analysis of topographic and economic data for the study area. Result: A successful flood risk map creation system was developed, resulting in risk ratings based on inundation depth and area. By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and economic data analysis techniques, a method for predicting direct damage to domestic buildings that reflects structural and usage characteristics was proposed. Conclusion: The developed model can predict uncertain future losses, aiding in prioritizing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and efficiently allocating resource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isk and disaster management and provides crucial indicators for establishing safety plan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액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홍수로 인한 피해액 중 건물의 직접 피해액을 HEC-RAS와 GIS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재난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리스크 분석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방법: 하천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HEC-RAS 2D를 활용한 홍수 시뮬레이션을 통해 침수 깊이와 면적을 시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수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건물의 종류와 층수(높이) 정보와 개별 공시지가 데이터를 중첩하여, K-FRM 모델을 근거로 홍수로 인한 직접 피해를 예측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GIS를 연계하여 연구지역의 지형정보와 경제데이터를 투입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홍수 위험지도 작성 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침수 깊이와 면적에 따른 위험등급을 도출하였다. 건물정보와 경제적 정보 분석기법의 통합을 통해 국내 건축물의 구조 및 용도를 반영한 직접 피해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 개발된 모델은 불확실한 미래의 손실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재난 관리 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리스크 및 재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안전계획 수립에 중요한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Direct Algorithm-Based Back Analysis Method for Retaining Walls

    흙막이벽에 대한 직접알고리즘 기반 역해석 기법의 적용성 평가

    Jun-Seok Lee, Bong-Su Kim, Kang-Il Lee

    이준석ㆍ김봉수ㆍ이강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dequac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back analysis method using the direct …

    연구목적: 직접 알고리즘을 이용한 역해석 기법의 적정성과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여 역해석 기법을 통해 흙막이 벽체의 거동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접 알고리즘 역해석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dequacy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back analysis method using the direct algorithm. By predicting the behavior of retaining walls through back analysi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irect algorithm-based back analysis method. Method: Bac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virtual ground model assuming single and multi-layered soil conditions, with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normal analysis using the elastic-plastic beam theory. Additionally, the field applicability was analyzed by conducting back analysis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from three actual sites. Result: The back analysis method demonstrated very high accuracy in predicting ground parameters and wall behavior, particularly showing strong alignment with measurement results during the later stages of excavation. However, in cases where the ground conditions are favorable and wall displacements are minimal,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was found to decrease. Conclusion: The back analysis method using the direct algorithm provides valid results under most conditions, but its application may be limited depending on specific ground conditions. These findings can serve as important reference material for the future application of back analysis methods in the field of geotechnical engineering.


    연구목적: 직접 알고리즘을 이용한 역해석 기법의 적정성과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여 역해석 기법을 통해 흙막이 벽체의 거동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접 알고리즘 역해석 기법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단일 및 다층 지반조건을 가정한 가상 지반 모델을 사용하여 역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탄소성보법을 통해 얻은 결과를 계측값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3개의 실제 현장 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역해석을 진행하여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해석 기법은 지반정수 및 벽체 거동 예측에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굴착 후반 단계의 계측 결과와의 일치도가 높았다. 그러나 지층 조건이 양호하고 벽체 변위가 적은 경우에는 적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접 알고리즘을 활용한 역해석 기법은 대부분의 조건에서 타당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지반 조건에 따라 적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반 공학 분야에서의 역해석 기법 적용 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Curve in Water Rescue

    수리실험을 통한 수상구조 위험도 곡선 개발

    Min-Young Park, Je-Seop Park, Su-Hyun Eom, Joo-Seok Kim, Hong-Sik Kim

    박민영ㆍ박제섭ㆍ엄수현ㆍ김주석ㆍ김홍식

    Purpose: The current “Water Rescue Activity Risk Assessment Criteria” lacks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and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as it …

    연구목적: 현재 ‘수상구조활동 위험평가 기준’은 실험적·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며 유속의 세기에 비례하여 4단계로 분류한 표로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기준표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 READ MORE
    Purpose: The current “Water Rescue Activity Risk Assessment Criteria” lacks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and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as it is presented in a tabl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based on the intensity of water flo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existing criteria. Metho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facility simulating an actual river, with participation from 119 rescue team members. The experimental stages were differentiated by water flow velocity and discharge. During each stage, the risk of level of rescuers during water rescue operations was assessment using quantitative data, such as task completion time, hydraulic pressure, and heart rate, as well as quali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sutveys. Result: Based on the analysis data obtained from the hydraulic experiments, a risk curve was developed. This curve complements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criteria, which only considered water flow velocity and increased risk proportional to a 5cm rise in water depth. The new curve allows for a simultaneous assessment of risk levels based on both water flow velocity and discharge.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risk assessment curve derived from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quatic environment conditions, such as a water depth of 50cm and a flow velocity of 2m/s or higher - previously classified as a danger level in existing water rescue activity risk assessment standards - remain within the safe range based on actual experimental results.


    연구목적: 현재 ‘수상구조활동 위험평가 기준’은 실험적·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며 유속의 세기에 비례하여 4단계로 분류한 표로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기준표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제 하천을 모사한 실험시설에서 119구조대원이 직접 참여하였으며 유속과 유량에 따라 실험 단계를 구분하였다. 단계별 실험 수행 시 작업 수행시간, 구조대원이 받는 압력(수압), 심박수 변화량 등 정량적 데이터와 설문조사를 통한 정성적 데이터를 통해 수상구조 시 구조대원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수리실험을 통해 얻은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이는 기존 유속만을 고려하고 수심 5cm 상승에 비례하여 위험도가 올라가는 기존 위험평가 기준표를 보완하여 유속과 유량에 따른 위험단계를 한 번에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위험평가 곡선을 적용하면, 기존 수상구조활동 위험평가 기준에서 위험단계로 제시한 수심 50cm, 유속 2m/s 이상의 수상 환경은 실제 실험을 통해 안전 단계에 머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AI Application Methods in Intelligent Manufacturing: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능형 제조공정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통한 AI 기술 적용방안 연구

    Dohyun Kim, Wookhyun Yeo, Yongtae Shin

    김도현ㆍ여욱현ㆍ신용태

    Purpose: This study aims to enhance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companies while prioritizing worker safety and developing a digital twin-based AI vision to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고 제조기업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AI 비전, 제조 실행 시스템, 위치 측위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enhance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companies while prioritizing worker safety and developing a digital twin-based AI vision to improve quality, creating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lligent manufacturing processes that leverages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ies.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particularly for tasks involving injection molding machines, real-time video-based AI detection technology was applied to tailor its design and application to the production line structure, enhancing the specialized detection of defective products. Result: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syste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a comparison of production PPM before and after its adoption demonstrated increased productivity due to reduced defect rates. Additionally, measurements of system response speed confirmed its ability to provide a swift initial response and rapidly disseminate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n on-site accident. Conclusion: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supporting decision-making in the implement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systems across various compan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고 제조기업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AI 비전, 제조 실행 시스템, 위치 측위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제조공정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제조공정 특성상 사출성형기 기반의 생산 작업을 고려하여 생산라인 구조에 맞는 설계 및 적용을 통해 불량품 검출에 특화되도록 실시간 영상 기반의 AI 감지 기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방법을 통해 시스템 개발 및 적용하였고, 시스템 도입 전/후 생산 PPM 비교하여 불량률 감소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스템 응답 속도 측정을 통해 현장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 및 상황전파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시스템은 다양한 제조기업이 제조공정 시스템 도입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Identifying Risk Factors for Fire Safety in Small and Medium Shipyards

    중소형 조선소 화재 안전을 위한 위험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Eun Sol Kim, Seok Un Kim, Eun Soo Son

    김은솔ㆍ김석운ㆍ손은수

    Purpose: From 2014 to 2021, a total of 9,082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in shipyards, of which 63 were fire-relate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

    연구목적: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조선소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는 총 9,082건에 달했으며, 이 중 화재로 인한 재해는 63건으로 약 0.7%를 차지하였다. 이는 재해 유형별 통계에서 …

    + READ MORE
    Purpose: From 2014 to 2021, a total of 9,082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in shipyards, of which 63 were fire-relate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0.7%. This is the 10th highest figure in statistics by disaster type, and deaths due to fire rank 6th among all disaster-related fatalities, confirming that fire is a serious risk factor with a high fatality rate within shipya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sure the safety of small and medium-sized shipyards, where safety accidents frequently occur due to poor facilities and narrow environments, with a focus on fire accidents that exhibit a high fatality rate. Method: Using previous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major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and verifi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Resul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main causes of fire accidents in shipyards are: 1) high-temperature sparks generated during welding work coming into contact with combustible materials, and 2) insufficient management of flammable materials and facilities. Conclusion: Shipyard fires represent a significant safety hazard with a high mortality rate, and the risk is particularly evident in small and medium-sized shipyards. Therefore, thorough management of combustible materials and facilitie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prevent welding-related fire risks, is essential.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safety accidents and improving overall safety in small and medium-sized shipyards.


    연구목적: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조선소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는 총 9,082건에 달했으며, 이 중 화재로 인한 재해는 63건으로 약 0.7%를 차지하였다. 이는 재해 유형별 통계에서 10번째로 높은 수치이며,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재해 사망자 중 6위를 차지하여 조선소 내에서 높은 치명률을 보이는 심각한 위험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높은 치명률을 보이는 화재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열악한 시설과 협소한 환경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중소형 조선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와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위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현장 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조선소 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1) 용접 작업 중 발생하는 고온의 불꽃이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는 경우와 2) 가연성 물질 및 시설에 대한 관리 부족이 확인되었다. 결론: 조선소 화재는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주요 안전 위험 요소이며, 특히 중소형 조선소에서 그 위험성이 두드러진다. 이에 따라 가연성 물질과 시설의 철저한 관리 및 용접 관련 화재 위험 예방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조치는 중소형 조선소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for Performance-Based Design in Residential Spaces

    주거공간의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적재가연물의 연소발열특성 연구

    Dong-Gun Nam

    남동군

    Purpose: The design fire sources based on the heat release rate of combustibles heavily influences the evaluation result of a performance-based design. …

    연구목적: 건축물의 성능위주설계의 평가결과는 가연물의 연소실험으로 측정된 열방출률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는 주거공간의 성능위주설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거공간의 가연물을 대상으로 화재실험을 …

    + READ MORE
    Purpose: The design fire sources based on the heat release rate of combustibles heavily influences the evaluation result of a performance-based desig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heat release rate for various combustibles in residential spaces. Method: Large scale calorimeter were used according to th amount of the combustibles. The combustibles were ignited using a small amount of fire source.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experiment was collected inside the duct to measure the gas concentration(oxygen,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the heat release rate were calculated by the oxygen consumption method. The fi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single combustible, simulated room and kitchen. Result: The results of these tests showed that the peak heat release rate were 1.2 MW for Kimchi refrigerator and 2 MW for Kitchen. In particular, a room had the highest fire risk in terms of the peak heat release rate, 2.8 MW. Conclusion: The design fire curve was proposed based on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combustibles,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based design in residential spaces.


    연구목적: 건축물의 성능위주설계의 평가결과는 가연물의 연소실험으로 측정된 열방출률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는 주거공간의 성능위주설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주거공간의 가연물을 대상으로 화재실험을 실행하여 주거공간의 열방출률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화재실험은 대형콘칼로리미터시험기의 집연 후드의 아래에 주거공간의 가연물을 배치한 후에 소형화원으로 점화하여 산소소모법에 의해 열방출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화재실험은 주거공간 중에 방 공간과 부엌 공간으로 구분하여 가연물을 배치하고, 가연물을 점화원으로 점화하여 가연물의 화염형상 및 시간별 가연물 간의 화염전파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부엌 공간과 김치 냉장고의 최대열방출률은 각각 2MW, 1.2MW이었다. 방 공간은 최대열방출률이 2.8MW로 크고 연소확대가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주거공간 가연물의 연소실험을 통해 측정한 열방출률을 모델화하여 주거공간의 디자인 화재곡선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주거공간의 성능위주설계의 신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Study on Prediction of Damage Range from Leakage according to Hydrochloric Acid Transport Vehicle Accident

    염산 운송차량 사고에 따른 누출피해 범위 예측에 관한 연구

    Woon-Yong Hwang

    황운용

    Purpose: Chemical substances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industry. These chemical substances are transported for uses, and accidents related …

    연구목적: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화학물질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사용을 위해 이송되며, 이송에 따른 사고도 매년 10회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

    + READ MORE
    Purpose: Chemical substances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industry. These chemical substances are transported for uses, and accidents related to their transport continue to occur more than 10 times a year. Recently, an accident occurred during the transport of hydrochloric acid at Jukrim J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damage area and establish prevention and protection alternatives. Method: Damage ranges analysis is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and leakage amount. Weather conditions are based on monthly weather conditions as of 2023 and weather conditions on the day of the accident. Additionally, the leakage amount was applied to the capacity of the hydrochloric acid container in the event of an actual accident. These were combined to develop a total of 96 accident scenarios. The developed scenario analyzed the damage range by PAC level using ALOHA Dispersion Models. Resul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the time of the accident, PAC-1, PAC-2, and PAC-3 were 317 m, 86 m, and 35 m, respectively, based on the accident point. A monthly analysis showed that damage was greatest in July under the lowest temperature conditions, and greatest in August under the highest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the overall expected damage range was shown to depend on the amount of leakage and temperature. However, in January and December, the temperature is low, so evaporation of substances does not occur prop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mage area regardless of the amount of leakage. Conclus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maximum damage area would be 4.2 km. At the time of the accident, sensory irritation occurred in nearby villages. However, if an accident occurs in the city center, large-scale damage is expect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and take immediate action in case of a leak.


    연구목적: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화학물질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사용을 위해 이송되며, 이송에 따른 사고도 매년 10회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죽림JC에서 염산의 이송 중 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고물질에 따른 피해 범위 예측을 통한 방지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피해 범위 분석은 기상 조건과 누출량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기상 조건은 2023년을 기준으로 월별 기상 조건과 사고일의 기상 조건을 적용하였다. 또한, 누출량은 실제 사고시의 염산 용기의 용량을 적용하였다. 이를 조합하여 총 96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시나리오는 ALOHA Dispersion Models을 통해 PAC 레벨에 의한 피해 범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고 당시 사고지점을 기준으로 PAC-1, 2, 3은 각각 317m, 86m, 35m로 나타났다. 2023년 월별로 분석하는 경우 최저 온도 조건에서는 7월, 최고온도 조건에서는 8월에 가장 피해 범위가 넓게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피해 예상범위는 누출량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1월과 12월은 온도가 너무 낮아 물질의 증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 범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넓게는 4.2km까지도 피해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당시 인근마을에서는 자극을 느끼는 정도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만약 도심지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대규모의 피해가 예상되므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누출 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The Dilemma of Speed Bumps in Reducing Damage During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시 피해를 줄이는 과속방지턱의 딜레마

    Kiman Hong, Jonghoon Kim

    홍기만ㆍ김종훈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establishment of speed bumps installation standard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속방지턱 설치 기준의 재정립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과속방지턱 설치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고 국내 과속방지턱 설치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establishment of speed bumps installation standard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system. Method: The effects of the installation of speed bumps were reviewed, and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the delay arrival of emergency vehicles was calculated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speed bumps in Korea and existing research cases. Result: As a result of applying 2% of the damage caused by the arrival of a one-minute delay to the fire situation, it was found that an additional damage of about 22 billion won was incurred nationwide. Conclusion: The installation of speed bumps has effects such as safety improvement,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the feasibility of installation because the negative impact of delaying the passage time of emergency vehicles cannot be overlook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속방지턱 설치 기준의 재정립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과속방지턱 설치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고 국내 과속방지턱 설치 현황 및 기존 연구 사례를 통해 긴급차량의 지연도착에 따른 손해액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화재 상황을 대상으로 1분 지연도착에 따른 피해액 2% 적용결과 전국 기준 약 220억원의 추가 손해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과속방지턱 설치로 인해 안전 향상 등의 효과가 발생하나, 긴급차량의 통행시간을 지연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의 타당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Field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s Using Smart Dampers

    스마트 댐퍼를 적용한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성능 향상을 위한 현장실험연구

    Chae-Eun Kim, Se-Hong Min

    김채은ㆍ민세홍

    Purpose: Domestic buildings are trending not only towards being taller and larger, but also towards going underground.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

    연구목적: 국내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를 넘어서 지하화 되고있는 추세이다. 건축물 20층 이하의 경우 1개 출입문 개방, 20층을 초과할 경우 2개층 출입문이 동시 …

    + READ MORE
    Purpose: Domestic buildings are trending not only towards being taller and larger, but also towards going underground.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conducted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automatic pressure control dampers, considering the actual evacuation situations of occupants. Although the design standard stipulates that one exit door may be opened for buildings with 20 floors or fewer, and two exit doors may be simultaneously opened for buildings with more than 20 floor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 focus on real-world evacuation scenarios. Method: We investigated and reviewed domestic fire protection targets for residential buildings, examin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policies, and regulations, and selected a 16-story residential building for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product developed in this study.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automatic pressure control damper was verified in real field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finding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automatic pressure control damper can achieve effective smoke control air velocity, even when multiple floor exit doors are simultaneously opened during the evacuation of occupants in real-life situations.


    연구목적: 국내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를 넘어서 지하화 되고있는 추세이다. 건축물 20층 이하의 경우 1개 출입문 개방, 20층을 초과할 경우 2개층 출입문이 동시 개방될 수 있다는 설계 기준을 따르고 있지만 현실적인 재실자의 피난 상황을 고려하여 실험을 통해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성능 향상의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시행한 논문이다. 연구방법: 공동주택의 국내 소방 대상물을 조사·확인하였고, 국내 및 해외 논문 및 정책, 법규를 문헌 고찰하였으며, 본 연구의 개발 제품을 16층 공동주택 건축물을 선정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하여 제시한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성능을 검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성능 향상을 통해 실제 재실자의 피난 상황에서 여러 층 출입문이 동시 개방되어도 유효한 방연풍속의 성능 구현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Reduction of Major Accident by Reinforcing the Role of Orderors for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with Construction Amount of Less than KRW 5 Billion

    공사금액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공사에 대한 발주자 역할 강화를 통한 중대재해 저감에 대한 연구

    Jin-Kyu Kim, Seung-Tae Kim, Jong-Hun Yun, Joon-Won Lee

    김진규ㆍ김승태ㆍ윤종훈ㆍ이준원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serious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owners safety and health resister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 사망 사고의 절반을 차지하는 공사 금액 50억 원 이하 소규모 현장의 재해 감소 대책의 일환으로 발주자가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serious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owners safety and health resister in order to reduce the high rate of fatal accidents that occur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a construction amount of less than 5 billion won. Method: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industrial accidents, the accident rate at construction sites, and the proportion by construction amount, and identify the main causes of disaster occurrenc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wner’s obligations among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establish improvement plans. Result: In construction work, safety management led by the owner from the planning stage is efficient. The Safety and Health Directorate is a safety management system led by the owner throughout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but it is not mandatory for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worth less than KRW 5 billion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ich is a cause of disasters. In particular, as there are many accidents caused by temporary facilities, fatal accidents must be reduced by creating a safety and health register at the design level. Conclusion: 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domestic construction accident rates and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it is necessary to prevent disaster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by mandating the creation of a safety and health register at the designer level even for construction projects worth less than KRW 5 bill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 사망 사고의 절반을 차지하는 공사 금액 50억 원 이하 소규모 현장의 재해 감소 대책의 일환으로 발주자가 주도하는 안전보건대장 역할 강화를 통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국내 산업 재해 현황 및 건설공사 현장의 재해 발생률 및 공사 금액별 비중을 조사하고, 재해 발생의 주요인을 파악한다. 국내 외 건설공사 안전관리 제도 중 발주자의 의무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규모 건설현장의 개선방안을 수립한다. 연구결과: 건설공사는 계획 단계부터 발주자 주도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이다. 안전보건대장은 건설공사의 전과정에서 발주자가 주도하도록 하는 안전관리 제도지만 산업안전보건법에서 50억 이하의 소규모 건설공사는 의무화되어 있지 않아 재해 예방을 위해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가시설에서 기인한 사고가 많아 설계 차원의 안전보건 대장 작성을 통하여 사망재해를 줄여야 한다. 결론: 국내 건설공사 재해율 비교 및 국내외 제도를 비교 연구한 결과 50억 미만의 건설공사에도 설계자 차원의 안전보건대장을 작성을 의무화하여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의 재해 예방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Material Damage and Cost-Benefit Analysis for Quantitative Risk Evaluation of Buried Pipes

    매설배관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위한 물적 피해 산출 및 비용-편익 분석 연구

    Duk-Han Kim, Youn-Ho Lee, Hyun-Gyu Choi, Ji-Hwan Park, Young-Woo Chon

    김덕한ㆍ이윤호ㆍ최현규ㆍ박지환ㆍ천영우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adequacy of safety investments by developing a cost-benefit analysis method that can help determine th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매설 배관에서 고압가스 배관 안전조치 이행시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용-편익 분석 연구를 통해, 안전투자에 대한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adequacy of safety investments by developing a cost-benefit analysis method that can help determine the timing of implementing safety measures for high-pressure gas pipes in buried pipes. Method: First, the scope of the accident impact was confirm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various accident scenarios was assessed. Third, an arbitrary area was selected to compare methods for applying individual building prices versus average prices. Fourth, human damage costs and expenses were calculated, and a cost-benefi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findings. Result: The cost-benefit analysis, considering physical damage, confirmed its validity across all reg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uilding specific price application method and the average price application method were found to be 171% for high density areas, 956% for mixed areas, and 256% for low density areas. Conclusion: The average price application method demonstrated the smallest discrepancy with actual amounts in high-density areas. When using this method,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priorities of various safety management measur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매설 배관에서 고압가스 배관 안전조치 이행시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용-편익 분석 연구를 통해, 안전투자에 대한 적정성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고영향범위를 확인하였다. 둘째, 사고시나리오별 발생 빈도를 확인하였으며, 셋째, 임의의 지역을 선정하여 건물 개별 가격과 평균 가격 적용방법을 비교하여 물적 피해액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넷째, 인적 피해액과 비용을 산출하고, 비용-편익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물적 피해액을 고려한 비용-편익 분석 결과 모든 지역에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개별 건물가격 적용 방법과 평균 가격 적용 방법의 차이는 고밀집 지역 171%, 혼합지역 956%, 저밀집 지역 256%로 나타났다. 결론: 평균 가격 적용 시 고밀집 지역이 실제 금액과의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분석 방법 사용 시 여러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여부와 우선 순위를 판단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on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중대재해처벌법」에 관한 국내 학술논문 연구동향 분석

    Kyung-ok Jeong

    정경옥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serious disaster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학술 연구에서 ‘중대재해’와 관련한 연구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대재해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serious disaster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research field related to ‘critical disasters’ in academic research published in Korea. Method: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147 final papers were selected among the paper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he ‘Critical Accident Punishment Act’ in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20 to the end of September 2024.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by year, number of researchers, paper publication,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Result: First, 57 papers were published as for trends by year, and the most ac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2022. Second, the trend by paper publication was the most, with 7 articles included in the ‘Labor Law Arguments’. Third, researchers had the most single-person studies with a total of 95. Four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more used as a research method. Fifth, in terms of trends by research content, research on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was conducted more actively than research on serious civil accidents. Conclusion: From 2020 to September 30, 2024,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can be provid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학술 연구에서 ‘중대재해’와 관련한 연구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대재해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2020년에서 2024년 9월말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논문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을 주제로 발표된 논문 중 최종 논문 147편을 선별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헌을 연구시기별, 논문게재지별, 연구자 수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동향은 57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2022년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논문게재지별 동향은 ‘노동법논총’이 7편이 수록되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자는 1인 연구가 총 95편으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질적연구 방법이 더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중대산업재해에 관한 연구가 중대시민재해에 관한 연구보다 더 활발히 진행되었다. 결론: 2020년에서 2024년 9월 30일까지의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연구동향을 확인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Study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 Risk Assessment System Using a Smart Platform: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스마트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실효성 검증연구: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Min Yong Song, Doo Hwan Kim, Yu Mi Moon

    송민용ㆍ김두환ㆍ문유미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itive impact of real-time hazard identification and response,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s, on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현장 스마트 기술과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위험요소의 실시간 발굴 및 조치가 안전관리의 효율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itive impact of real-time hazard identification and response,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obile applications, on the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 and Amos 26 software for multivariat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The study confirmed that risk sensitiv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action levels through the mediation of hazard identific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identifying hazards in construction sites positively affects action levels. Additionally, hazard identification directly influences effectiveness and also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of action levels. Therefore,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structural pathway that connects hazard identification and action levels to achieve practical safety outcomes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beyond mere legal complianc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risk sensitivity and establishing a systematic process for hazard identification are crucial for strengthening action levels and ultimately improving effectivenes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현장 스마트 기술과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위험요소의 실시간 발굴 및 조치가 안전관리의 효율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9 와 Amo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차원 분석 및 경로모형(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위험 민감성은 위험요소발굴을 매개로 하여 조치 수준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경로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위험을 민감하게 인식하고 발굴하는 과정이 조치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위험 요소 발굴은 실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치 수준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관리 활동이 단순한 법적 준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위험 요소발굴과 조치 수준을 연계하여 실질적인 안전 성과를 도출하는 구조적 경로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민감성을 높이고 위험요소를 발굴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조치 수준을 강화하며, 궁극적으로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e-friendly Natural Wood Tree Style

    자연친화적 천연목재 수종별 강도특성 분석 연구

    Doo hwan Kim, Min yong Song, Byong jeong Choi

    김두환ㆍ송민용ㆍ최병정

    Purpose: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natural wood. Method: The most commonly …

    연구목적: 천연목재의 내구성 측정을 위한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목재 꾸메아, 말라스, 멀바우, 이페를 대상으로 …

    + READ MORE
    Purpose: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natural wood. Method: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woods in the country, Kuméa, Malas, Mulbau, and Ife, were targeted. The purpose of the test is to identi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bending sensitivity, moisture content,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Preservative wood was also tested and compared with natural wood. Result: The flexural strength, fiber-oriented compressive strength, and fiber-oriented shear strength were derived from the highest in Kumea and Ife, and the low in the preservative wood. The tensile strength was derived from high Mulbau and low antiseptic wood.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wood are superior to that of preservative wood, and the use of natural woo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and reinforcing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연구목적: 천연목재의 내구성 측정을 위한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목재 꾸메아, 말라스, 멀바우, 이페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 종류는 휨감도, 함수율, 섬유방향 전단강도, 섬유방향 압축강도, 인장강도 로 하여 강도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부목도 시험하여 천연목재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휨강도와 섬유방향 압축강도, 섬유방향 전단강도는 꾸메아와 이페가 가장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인장강도는 멀바우가 높게 나오고 방부목이 낮게 도출되었다. 결론: 천연목재 강도특성이 방부목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천연목재의 활용이 건설현장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보강에 기여 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Measurements of Skin Exposure Damage during Firefighting Activities

    소방관 화재 진압 활동 시 피부 노출에 따른 손상에 관한 측정연구

    Young Sam Lee, Jung Hyun Yoo, Young-Jin Seo, Jong Hoon Kim, Jin Hak Kim, Chun Hee Jo

    이영삼ㆍ유정현ㆍ서영진ㆍ김종훈ㆍ김진학ㆍ조춘희

    Purpos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negative physical changes caused by exposure to fire scene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

    연구목적: 화재현장 환경에 노출이 되어서 발생하게 되는 부정적인 신체적 변화는 대책이 필요하다. 소방관의 화재 시 피부노출의 상황에서 표피층에 미치는 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

    + READ MORE
    Purpos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negative physical changes caused by exposure to fire scene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amage to the epidermis caused by exposure to fire scenes in firefighters. Method: The study conducted surveys and measurements of firefighters participating in fire training conducted at Gyeonggi-do Fire Service Academy. Surveys and skin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 31 firefighters during their break times before and after fire training. Ski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a video microscope. Resul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irefighters believed that skin health is important for social activities and that hospital management is necessary. Significant damage was observed in all measurement items, and skin contamination was also present. This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damage to skin health at fire scenes even when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Conclusion: Firefighters at fire scene are likely to suffer more severe adverse effects than those observed in this experiment, and research on methods to recover and maintain skin health is deemed necessary.


    연구목적: 화재현장 환경에 노출이 되어서 발생하게 되는 부정적인 신체적 변화는 대책이 필요하다. 소방관의 화재 시 피부노출의 상황에서 표피층에 미치는 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방관들이 화재 현장 활동 중 노출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방학교에서 실시한 현직 소방관의 실화재교육 훈련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화재 훈련 전후 휴식시간을 이용하여 현직 소방관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피부 측정을 실시하였다. 피부측정은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실시 결과 피부건강은 사회적 활동에 중요하며, 병원에서의 조치나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측정된 모든 항목에서 뚜렷한 손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피부 잔해물도 나타나고 있어, 장비를 갖추고 화재현장에 투입된다고 하더라고 피부 건강의 악영향은 막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결론: 화재진압현장에서의 소방관들은 본 실험의 결과보다 더 심한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회복하고 피부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mpact Assessment of LPG Filling Stations in the Event of Large Wildfires in WUI-P

    WUI-P 대형산불발생 시 LPG충전소 피해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Jinchan Park, Joengchan Yun, Jihoon Suh, Minho Baek

    박진찬ㆍ윤종찬ㆍ서지훈ㆍ백민호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amage impact radius on LPG filling stations in Wildland-Urban Interface with Petroleum (WUI-P) areas during …

    연구목적: 본 연구는 WUI-P 지역에서 대형 산불 발생 시 LPG 충전소에 미치는 피해 영향 거리를 분석하고, 잠재적 폭발로부터 주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amage impact radius on LPG filling stations in Wildland-Urban Interface with Petroleum (WUI-P) areas during large-scale wildfires and propose measures to protect residents from potential explosions. The objective includes establishing appropriate safety measures and evacuation plans by simulating both an Alternative Scenario and a Worst Case Scenario. Method: The research employed the ALOHA software to simulate the potential impact on LPG filling stations in the Gangwon Yeongdong region, which frequently experiences large wildfire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under the Alternative Scenario (50 tons of propane leakage), the LEL (Lower Explosive Limit) impact distance extends to 1.6 km, with the Overpressure impact reaching 532 meters, potentially causing minor human injuries and structural damage. Under the Worst Case Scenario (100 tons of propane leakage), the LEL impact distance extends to 2.6 km, and the Overpressure impact reaches 962 meters, posing a higher risk of fatal human injuries and structural collapse. Result and Conclusion: Large wildfires in WUI-P areas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sk of explosions at LPG facilities, potentially resulting in extensive damage. Comprehensive safety measures such as firebreak installation, fire detection system enhancement, and evacuation planning are essential to mitigate these risks.


    연구목적: 본 연구는 WUI-P 지역에서 대형 산불 발생 시 LPG 충전소에 미치는 피해 영향 거리를 분석하고, 잠재적 폭발로부터 주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lternative 시나리오와 Worst Case 시나리오를 통해 적절한 안전 대책과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강원도 영동 지역에 위치한 LPG 충전소를 대상으로 ALOHA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Alternative 시나리오(50톤 프로판 누출)에서는 LEL 피해영향거리가 1.6km, Overpressure 피해영향거리가 532m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경미한 인명 피해와 건물 손상이 예상되었다. Worst 시나리오(100톤 프로판 누출)에서는 LEL 피해영향거리가 2.6km, Overpressure 피해영향거리는 962m로 확장되어 치명적인 인명 피해와 구조물 붕괴 가능성이 높아졌다. 결론: WUI-P 지역의 대형 산불은 LPG 시설에 폭발 위험을 가중시키며,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방화선 설정, 화재 감지 시스템 강화, 대피 계획 수립 등의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Measures to Prevent Fire Spread in Logistics Facilities due to Forest Fires in Wildland Urban Interface

    산림-도시 인접지역의 산불로 인한 물류시설의 화재확산방지 방안 연구

    Jeong-Ki Min

    민정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to logistics facilities adjacent to forests caused b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산불로 인한 산림에 인접한 물류시설의 화재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to logistics facilities adjacent to forests caused by rapidly increasing forest fire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 investigated fire safety standards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overseas and based on this, proposed countermeasures that can be applied domestically. Result: Overseas, the concept of Wildland Urban Interface (WUI) has been introduced to establish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for fire risk in areas where forests and buildings are combined, and not onl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fire protection, fire resistance, and damage resistance), but also the weather conditions around the building. The risk is assessed and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six conditions, including site conditions and the type of combustibles placed around the building.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orest adjacency standards for logistics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building materials that exceed the standards stipulated in the law in Korea. Logistics facilities located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are required to collect information and minimize damage from fire sprea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level of risk.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산불로 인한 산림에 인접한 물류시설의 화재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외 산림-도시 인접지역의 화재안전기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대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에서는 산림-도시 인접지역(WUI)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과 건축물이 인접한 지역의 화재위험성에 대한 평가방법 및 Tool을 구축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구조적인 성능(방화성, 내화성, 비손상성)뿐만 아니라 건축물 주변부의 기상상황 및 대지 조건, 건축물 주변부의 가연물 배치형태 등 6가지 조건에 맞추어 위험도를 평가하고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국내에서는 물류시설에 대해 산림-도시 인접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며,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 이상의 건축재료의 적용이 필요하고 정보의 수집과 함께 화재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림-도시 인접지역에 위치한 물류시설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Study on Fall Detection by Exploiting Wi-Fi CSI and LSTM-Attention Scheme in Indoors

    Wi-Fi CSI 데이터 및 LSTM-Attention 기법 기반 실내 낙상 추정 연구

    Yongbin Seo, Kyongseok Jang, Youngok Kim

    서용빈ㆍ장경석ㆍ김영억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uman Activity Recognition (HAR)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classifying various actions, including falls, that ma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Wi-F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uman Activity Recognition (HAR)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classifying various actions, including falls, that may occur indoors by utilizing Wi-Fi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data. Method: Two Wi-Fi Access Points (APs) were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collect CSI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train a model combining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an Attention mechanism to perform activity classification. Result: The proposed LSTM-Attention model achieved a high accuracy of 97.6%, demonstrating superior or comparable performance to existing studies. In particular, by excluding phase information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focusing on amplitude data, the model achieved high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out confusion between similar action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ombination of amplitude information from CSI data and the LSTM-Attention model can effectively classify various actions, including falls. The proposed approach shows potential for reducing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nabling stable indoor activity recogni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Wi-Fi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인간 행동 인식 시스템(Human Activity Recognition)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두 개의 Wi-Fi AP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CSI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Long Short-Term Memory (LSTM)과 Attention 메커니즘을 결합한 모델의 학습에 사용되어 동작 분류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LSTM-Attention 모델은 97.6%의 높은 정확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와 비교해 우수하거나 유사한 성능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환경 변화에 민감한 위상 정보를 제외하고 진폭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한 결과, 유사한 동작 간의 혼란 없이 높은 분류 성능을 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CSI 데이터의 진폭 정보와 LSTM-Attention 모델의 결합을 통해 낙상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환경 변화에 따른 민감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실내 행동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FLACS and PHAST Models through the Analysis of Explosion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화학공장에서 발생한 폭발사고 재현 및 분석을 통한 FLACS 및 PHAST 모델의 적용성 평가

    Kyung-Su Lee, Chang-Bong Jang, Su-Bin An

    이경수ㆍ장창봉ㆍ안수빈

    Purpose: This study aims to scientifically analyze chemical plant explosion accidents using simulation techniques and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학공장 폭발사고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적용성과 활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실제 사고사례를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scientifically analyze chemical plant explosion accidents using simulation techniques and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methods. Method: Actual accident cases were replicated using 2D and 3D simulat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al damage data to analyze the amount of leaked material contributing to the explosion and the explosion behavior. Result: The 3D simulation provided results that closely resemble real accident scenario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urbulence and structural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2D simulation could predict the impact and extent of damage relatively quickly but had limitations in reflecting structural and turbulence effects. Conclusion: Simulation technique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cientific analysis of the causes and impact of chemical accidents, providing a solid foundation for identifying accident causes and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similar incid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학공장 폭발사고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적용성과 활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실제 사고사례를 대상으로 2D 및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를 재현하고 실제 피해 현황과 비교하여 폭발에 기여한 누출량과 폭발 거동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D 시뮬레이션은 난류, 구조물 등 영향을 고려하여 누출량, 폭발 거동 등 실제 사고 상황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2D 시뮬레이션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사고 피해 영향 및 범위를 예측할 수 있으나 구조물, 난류 등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결론: 시뮬레이션 기법은 화학사고의 과학적 원인분석과 피해 영향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고의 원인규명과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과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Structural Improvement of Personnel Evaluation of Coast Guard

    해양경찰 인사평가의 구조적 개선에 관한 연구

    BoGyeong Kim, HyeJin Song

    김보경ㆍ송혜진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deficiencies in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of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양경찰청의 기존 근무 성적 평정 제도가 지닌 구조적 결함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시스템을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deficiencies in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of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propose a solution to improve it. The proposed solution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based system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to enhance the fairness and efficiency of evaluations. Method: To improve the personnel evaluation system of the KCG,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Additionally, it proposed integrating AI and big data technologies into a database-based evaluation system to establish a more efficient and fair approach. Result: The database-based system can improve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evaluations while leveraging AI and big data to create tailor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job type, thereby enhancing reliability and efficiency. Conclusion: Structural improvements to the KCG’s personnel evalua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greater fairness and efficiency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in turn, will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KCG to fulfill its role as a trusted institution in the eyes of the public.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양경찰청의 기존 근무 성적 평정 제도가 지닌 구조적 결함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해양경찰청의 인사평가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평가 시스템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결합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공정한 인사 평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 기반 시스템은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높이고,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직무별 맞춤형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신뢰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다. 결론: 해양경찰 인사평가의 구조적 개선은 조직 내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이를 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해양경찰청으로서의 역할 수행의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IPA Analysis on the Prevention of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Work's Earth Retaining Structure

    건설공사의 흙막이 가시설 붕괴 방지 대책에 관한 IPA 분석

    Taeseok Oh, Sekil Oh

    오태석ㆍ오세길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mudslides by identifying risk factors for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흙막이 붕괴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붕괴 방지 대책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흙막이 안전관리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

    + READ MORE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mudslides by identifying risk factors for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llapse at construction sites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measures to prevent collapse. Method: 165 construction engine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cause and action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llapse, and the priority of risk factors for each construction stage was derived by applying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Result: whil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for improving the bidding and procurement stage system to reduce the risk of construction progress due to unreasonable attempts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was very high, the execution was the lowest, indicating that improvement was urgent. In addition, the IPA analysis result suggested the specific direction of the management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mudslides, which currently has 8 factors in need of maintenance (Quad II), 3 factors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 (Quad II), 7 factors to be improved in the mid to long term (III quadrant), and 4 factors that can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IV quadr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risk factors by stage is essential for preven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 collapse, and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on-site execution to resolv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흙막이 붕괴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붕괴 방지 대책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흙막이 안전관리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건설분야 전문가 기술사 165명을 대상으로 흙막이 붕괴 사고 원인 및 대응 방안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였으며,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공사 단계별 위험 요소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사 관리 과정에서 무리한 공사비 절감 시도로 인한 공사 진행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입찰 및 조달 단계 제도 개선 요인의 중요도는 매우 높은 반면, 실행도가 가장 낮아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을 나타냈다. 또한, IPA 분석 결과는 흙막이 붕괴 방지 관리의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현재 유지가 필요한 요소가 8개(I사분면), 긴급히 개선이 필요한 요소가 3개(II사분면), 중장기적으로 개선할 요소가 7개(III사분면), 그리고 현행 수준에서 유지 가능한 요소가 4개(IV사분면)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단계별 위험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개선이 흙막이 붕괴 사고 예방에 필수적임을 시사하며,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현장 실행력 강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f the Hazardous and Dangerous Factors Management for the Serious Accidents Prev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중소기업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유해·위험 요인 관리에 관한 연구

    ChangYeol Lee, HanKuk Hong, Twehwan, Kim

    이창열ㆍ홍한국ㆍ김태환

    Purpose: It is not easy to response and manag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n the small sized enterprise. The essence is …

    연구목적: 중·소 기업에게 있어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대응과 관리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핵심 사항인 유해·위험에 대한 관리를 영세기업이 쉽게 할 수 있는 …

    + READ MORE
    Purpose: It is not easy to response and manag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n the small sized enterprise. The essence is to provide the self-controlled prevention system response to the hazardous and danger factors which is the keys factors of the regulation. Method: Based on the new risk assessment guideline of KOSHA, we study the detail procedures and template examples of the risk assessment in case of the serous industrial accidents. But the serious civil accident does not define the detail regulations in the hazardous and dangerous factors. We define the detail procedures and template examples of the regulation. Result: We provides the detail procedure and template example of the hazardous and dangerouos factors management. Conclusion: In case of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we provides the detail risk assessment management. In case of The serious Civil Accidents, we study the procedures and template examples in the hazardous and dangerous factors.


    연구목적: 중·소 기업에게 있어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대응과 관리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핵심 사항인 유해·위험에 대한 관리를 영세기업이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안전보건공단의 새로운 위험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산업재해에 대한 위험성 평가에 대한 세부적 절차와 예시를 제시하고, 시민재해인 경우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위해·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절차적이고 템플릿 예시를 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대산업재해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중대시민재해에서는 유해·위험 요인 관리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에서 관리하는 요소에 대한 유해·위험 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소 기업을 위한 유해·위험 요인 관리에 대한 세부 체계를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Numeric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3-Ply Bellows Expansion Joint consigering Structural Uncertainty

    구조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3중 적층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Ho-Young Son, Bub-Gyu Jeon, Bu-Seog Ju

    손호영ㆍ전법규ㆍ주부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ffect of wall thinning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bellows expansion joints under monotonic bending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단조 휨 하중 하에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 모델 기반의 해석적 연구를 통해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ffect of wall thinning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bellows expansion joints under monotonic bending loads based on a finite element model. Method: Monotonic bending loading experiments of 3-ply bellows expansion joints were performed on 200A pipe to develop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validat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FE analysis was performed by increasing the wall-thinning rate by 10% from a minimum of 10% to a maximum of 50%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with wall-thinning rate was compared. Result: The overall trends were similar in the experimental test and the FE analysis, and the maximum force were in good agreement by a difference of about 6%. In addition, the location of damage in the experimental test and the location of the plastic strain concentration in the FE analysis were the same. The maximum force decreased by about 5% to 6% for every 10% decrease in wall thinning. Conclusion: Since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was in good agreement and the location of the concentrated plastic strain was consistent, the finite element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for simulating the bending load behaviour of the 200A 3ply bellows expansion joint. In addition, wall-thinning under the bending load affects the structural performance. Future research will analyse the effect of wall-thinning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bellows expansion joints under cyclic load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단조 휨 하중 하에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 모델 기반의 해석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석적 연구를 위해 200A 배관을 대상으로 3중 적층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단조 휨 하중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유한요소 모델을 구축 및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및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인 경향성은 유사하였으며 최대 하중은 약 6%차이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실험에서 손상이 발생한 위치와 유한요소 해석에서 소성변형률이 집중된 위치는 동일하였다. 벽두께 감소율이 10%씩 감소할 때 최대 하중은 약 5%~6%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하중-변위 관계는 잘 일치하였으며 소성 변형이 집중되는 위치는 동일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유한요소 모델은 200A 3중 적층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단조 휨 하중 거동을 모사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단조 휨 하중하에서 벽두께 감소는 구조적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연구는 반복하중 하에서 벽두께 감소가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rrier Performance and Multi-spectral Information of the Liner for Preventing the Diffusion of Oil Contaminants according to the Mixture Condition of Reactive Material

    유류 오염물 확산 방지를 위한 라이너의 반응재료 배합 조건에 따른 차단 성능과 다분광 정보의 상관성 평가

    Jeongjun Park, Gigwon Hong

    박정준ㆍ홍기권

    Purpose: It is essential to have a response technology to prevent the diffusion of oil contaminant due to spill accidents in areas …

    연구목적: 오염물 발생 가능성이 농후한 지반 내에 오염물 유출사고로 인한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사전 대응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라이너에 대한 …

    + READ MORE
    Purpose: It is essential to have a response technology to prevent the diffusion of oil contaminant due to spill accidents in areas with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d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researc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rrier performance and spectral information of the developed liner. Method: Lab-scale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arrier performance of the liner according to the mixture conditions of the reactive material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spectral information. The barrier performance of the liner was evaluated by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model groun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maximum reflectance of the reactive material. Result: The liner had an impermeable characteristic as the composition ratio of polynorbornene increased. In addition, the maximum reflectance of the reactive material decreased as the composition ratio of polynorbornene decreased. Conclu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reflectance of the re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mixture conditions can be predicted by a quadratic function with high rel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evaluated that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infer the mixture conditions of the reaction material for optimizing the barrier performance of the liner.


    연구목적: 오염물 발생 가능성이 농후한 지반 내에 오염물 유출사고로 인한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사전 대응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라이너에 대한 차단 성능과 분광정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반응재료의 배합 조건에 따른 라이너에 대한 차단 성능 평가를 위한 실내 모형실험 및 분광정보 획득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배합 조건별 라이너의 차단 성능을 지반의 투수계수로 평가하였으며, 이 결과를 반응재료에 대한 최대분광반사율과의 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라이너의 차단 성능 실험 결과, 반응재료의 주 반응제인 폴리노보넨의 구성비가 증가할수록 라이너는 불투수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반응재료의 최대분광반사율을 평가한 결과, 폴리노보넨의 구성비가 감소할수록 최대분광반사율도 감소하였다. 결론: 배합 조건에 따른 반응재료의 최대분광반사율은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이차함수로 예측이 가능하고, 이를 라이너의 차단 성능 최적화를 위한 반응재료 배합 조건의 유추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Safety by Analysis of the Risk of fire in Cold Logistics Warehouses

    저온 물류창고 화재의 위험성 분석을 통한 피난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Jin-Woo Lee, Doo-Chan Choi, Jin Chae, Don-Mook Choi

    이진우ㆍ최두찬ㆍ채진ㆍ최돈묵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through analysis of the risk of fire in cold logistics …

    연구목적: 저온 물류창고 화재의 위험성 분석을 통한 피난안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실제 화재가 발생한 저온 물류창고의 CCTV 영상과 …

    + READ MOR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through analysis of the risk of fire in cold logistics warehouses. Method: The presented problems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CCTV images of cold logistics warehouses where actual fires occurred and evacuation and evacuation times obtained by performing evacuation simulation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ime the occupants witnessed the fire and evacuated was more than 30 seconds short of evacuating to a safe place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evacuation simulation when the fire fighting facility was not operating. Conclusion: In order to secure evacuation safety, first, to prevent arbitrary manipulation of fire fighting facilities such as interlocking stops. Second, to avoid using urethane foam interior materials such as non-combustible and semi-non-combustible interior materials. Third, proper installation of fire prevention compartments. and fourth, to establish a system for saf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by repeated evacuation drills by occupants is expected to reduce property and human damage.


    연구목적: 저온 물류창고 화재의 위험성 분석을 통한 피난안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실제 화재가 발생한 저온 물류창고의 CCTV 영상과 피난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얻은 피난 및 대피 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재실자들이 화재를 목격하고 대피를 한 시간이 피난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와 비교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하기까지 약 30초 이상 부족하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첫째, 연동정지 등 소방시설 임의 조작 방지, 둘째, 우레탄폼 내장재 사용을 지양하고 불연·준불연 내장재의 사용, 셋째, 방화구획의 적절한 설치, 넷째, 재실자들의 반복적인 피난훈련 실시로 유사시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재산 및 인명피해를 줄일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Overseas Disaster Specialist System: Focus on the Case of Overseas Diplomatic Missions

    해외재난 전문인력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 재외공관 사례를 중심으로

    Joon-Seok Park, Chong-Soo Cheung

    박준석ㆍ정종수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overseas disaster specialist system is working well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cusing …

    연구목적: 연간 출국자 및 재외국민 3,000만 명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해외재난 전문인력제도가 재외공관을 중심으로 양적•질적으로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

    + READ MO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overseas disaster specialist system is working well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cusing on overseas missions.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ased on exploratory research by literature research such as other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related laws such as the Consul Assistance Act. Result: It presen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overseas disaster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focusing on overseas missions, and introduced and explained the concept of horizontal and vertical operation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Conclusion: Suggested simultaneously promoting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the overseas disaster specialist system in overseas mission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for active consultation with related ministries within the government to secure related budgets and manpower allocation.


    연구목적: 연간 출국자 및 재외국민 3,000만 명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해외재난 전문인력제도가 재외공관을 중심으로 양적•질적으로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영사조력법」과 같은 관련 법률을 비롯하여 여타 학술지, 석•박사 논문 등의 문헌조사에 의한 탐색적 연구에 기반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재외공관을 중심으로 해외재난 전문인력제도 운영 개선을 위한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의 방안을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전문인력제도의 횡적 운영과 종적 운영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였다. 결론: 재외공관 내 해외재난 전문인력제도 운영의 양적 확대와 질적 개선을 동시에 도모하고, 관련 예산, 인력배정 등 확보를 위한 정부 내 유관부처와의 적극적인 협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